민주당 비명주자들, '당원·여조 50 대 50' 경선룰 반발 격화…"경선 불참 고민"
민주 국민참여경선 가닥…비명계 불만 고조
김동연·김두관 측 "무늬만 경선", "어대명 들러리"
이르면 오는 14일 경선룰 최종 확정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대선출마를 선언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비전 및 캠프 인선 발표를 마친 뒤 시계를 보며 이동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4.11.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4/11/NISI20250411_0020768577_web.jpg?rnd=20250411112239)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대선출마를 선언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비전 및 캠프 인선 발표를 마친 뒤 시계를 보며 이동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4.11. photo@newsis.com
13일 민주당에 따르면, 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전날(12일) '권리당원 투표 50%·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의 경선룰을 확정·의결했다. 경선 규칙은 당무위원회의와 전당원투표 등을 거쳐 이르면 오는 14일 최종 확정된다.
그동안 당 주류에서는 국민참여경선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을 했다. 이 전 대표 측은 2021년 대선 경선 3차 국민 선거인단 투표에서 이낙연 당시 후보에게 패배한 것에 대해 "특정 종교 집단·정당 지지층의 개입 때문"이라고 주장해왔다.
반대로 국민경선은 선거인단으로 모집된 일반 국민과 대의원·권리당원에게 동일한 '1인 1표'를 보장해 비명(비이재명)계가 선호했다. 민주당은 19대·20대 대선 때는 국민경선 방식을 채택했었다.
이 때문에 비명(비이재명)계 후보 측은 국민 참여경선 방식의 경선에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경선 중도 하차를 시사하는 등의 격앙된 반응도 나온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대리인인 고영인 전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지난 12일 입장문을 통해 "김동연 캠프는 ‘국민선거인단 없는 무늬만 경선’에 대해 단호히 반대한다"며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선출되던 16대 대선 경선 때부터 이 전 대표가 후보로 선출됐던 20대 대선 경선 때까지 모두 국민선거인단을 통한 경선이 원칙이었다"고 했다.
이어 "민주당은 ‘역선택’이라는 말에 원칙을 접은 적이 없다. 국민경선을 못 하겠다는 것은 국민을 믿지 못하겠다는 것"이라며 "당규준비위원회는 이번 대선특별당규 경선방식을 재고하고 이재명 후보도 특별당규위의 결정을 바로잡는 데 역할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심각한 고민과 결단을 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김두관 전 의원 측도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선거 후보는 이재명) 추대 경선'의 들러리로 나서라는 것이냐며 반발했다. 김 전 의원 측 백왕순 대변인은 지난 11일과 12일 입장문을 내고 "지도부가 후보자 의견을 듣지 않고 계속 불통한다면 어대명 추대 경선의 들러리로 나서는 것에 대해 깊이 고민할 수밖에 없다"며 "어대명 경선 참여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숙고할 것"이라고 했다.
진보 진영 유력 주자로 꼽히는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도 오는 14일 대선 출마와 함께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오픈프라이머리 방식의 경선을 요구해온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지난 9일 민주당 경선 불참을 선언했다.
이춘석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장은 "저희가 정한 방법은 지금 출마를 선언한 후보들 어느 누구도 동의하지 않는다"라며 "하지만 우리에게 주어진 시대적 소명, 그리고 갑자기 대선이 열리는 시간적 급박성 등을 고려해 지금의 경선 방식을 도출한 것이다. 이를 향후 더 설명드리고 같이 참여해서 잘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appy7269@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