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尹, 관저 퇴거…"국민의 한사람으로 돌아가 나라 위한 새길 찾겠다"(종합)

등록 2025.04.11 18:58:2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남동 관저 입주 2년5개월 만에 서초동 복귀

아크로비스타 입구서 尹·김여사 주민 등 인사

정진석 실장 등에게 "많이 미안하고 감사했다"

입장문 내 "관저 앞 지킨 청년 열의 깊이 새겨"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를 나서며 지지자들에 인사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 오른쪽은 김건희 여사. (공동취재) 2025.04.1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를 나서며 지지자들에 인사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 오른쪽은 김건희 여사. (공동취재) 2025.04.1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김지훈 남정현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 탄핵 인용 선고 일주일만인 11일 "새로운 길을 찾겠다"는 말을 남기고 부인 김건희 여사와 함께 한남동 관저를 떠나 서초동 사저로 돌아갔다.

지난 2022년 11월7일 주민과 지지자들의 응원과 격려 속에 서초동 사저를 떠나 관저에서 생활한 지 약 2년 5개월 만의 귀가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후 5시8분께 경호차량을 타고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를 빠져나갔다.
 
윤 전 대통령은 퇴거에 앞서 정진석 비서실장, 신원식 안보실장, 성태윤 정책실장, 수석 및 차장급 이상 참모들과 20여분간 별도의 인사를 나눴으며, 200여명의 대통령실 직원들과 일일이 악수하며 인사를 나눈 뒤 차량에 올랐다.

이 자리에서 윤 전 대통령은 "임기를 끝내지 못해 아쉽다. 모두 고생이 많았다. 많이 미안하고 그동안 감사했다"고 말했다. 정 실장은 "강건하시길 기원합니다"라고 답했다.



이날 관저 배웅에 나선 직원들은 윤 전 대통령과 인사를 나누며 눈물을 흘린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11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 서초동 사저로 이동하며 지지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공동취재) 2025.04.1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11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 서초동 사저로 이동하며 지지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공동취재) 2025.04.11. photo@newsis.com


이어 윤 전 대통령은 오후 5시10분께 관저촌 정문 앞에서 하차해 학과 점퍼를 입은 청년 등 지지자들과 포옹하거나 악수를 나누었다. 일부 지지자들은 눈물을 보였다.

윤 전 대통령은 관저 앞에서 10여분간 지지자들과 인사를 나눈 뒤 다시 경호차량을 타고 사저가 있는 서울 서초구 서초동 주상복합 건물 아크로비스타로 이동했다.

윤 전 대통령은 사저 입구에서 또다시 지지자들과 인사를 나눴다. 이때는 김 여사도 차에서 내려 지지자 등과 인사한 뒤 안으로 들어갔다.

윤 전 대통령 내외는 이곳에서 반려동물 11마리와 함께 지낼 예정이다.

아크로비스타는 주상복합 건물이어서 경호 등에 제약이 있을 것이라는 문제 제기도 있었으나, 취임 후 관저 공사가 마무리될 때까지 6개월가량 지냈던 곳인 만큼 경호 준비는 다 돼 있다는 게 경호처의 설명이다.

다만 집회·시위와 경호에 따른 주민 불편이 초래될 수 있고, 관저에서 기르던 반려동물들과 함께 생활하는 점 등을 고려해 단독주택을 매입해 이동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11일 서울 서초구 사저로 들어서며 마중 나온 관계자들에게 꽃다발을 받고 있다. (공동취재) 2025.04.1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11일 서울 서초구 사저로 들어서며 마중 나온 관계자들에게 꽃다발을 받고 있다. (공동취재) 2025.04.11. photo@newsis.com


윤 전 대통령은 관저 퇴거 직후 변호인단을 통해 입장을 냈다. 헌재의 파면 선고 이후 세 번째 입장문이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겨울 많은 국민들과 청년들께서 자유와 주권을 수호하겠다는 일념으로 밤낮없이 한남동 관저 앞을 지켜주셨다"며 "그 뜨거운 열의를 지금도 가슴 깊이 새기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한사람으로 돌아가 나라와 국민을 위한 새로운 길을 찾겠다. 자유와 번영의 대한민국을 위해 미력하나마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배웅에 나선 직원들과 인사를 나누면서는 "비상조치 이후 미래 세대가 엄중한 상황을 깨닫고 자유와 주권 가치의 소중함을 인식하게 돼 다행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앞선 2차 입장문에서는 "국민변호인단 여러분, 자유와 주권 수호를 위해 싸운 여러분의 여정은 대한민국의 위대한 역사로 기록될 것이다. 저는 대통령직에서는 내려왔지만 늘 여러분 곁을 지키겠다"고 밝힌 바 있다.
 
윤 전 대통령은 파면 이후 일주일 동안 관저에 머물면서 국민의힘 의원들과 전한길씨 등을 민나 대선에서 승리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11일 서울 서초구 사저로 들어서며 마중 나온 관계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4.1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11일 서울 서초구 사저로 들어서며 마중 나온 관계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4.11. photo@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 jikime@newsis.com, nam_jh@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