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안덕근 만난 박찬대 "한미 관세 협상 급히 결론내지 말아야"

등록 2025.04.21 17:28:1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안 장관 '한미 2+2 통상협의' 앞두고 국회 대면 보고

민주 "급하게 결정하지 말아란 주문에 안 장관도 공감"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통상 협상 관련 보고를 진행하기 위해 이철규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장실로 이동하고 있다. 오는 24일 미국에서 최상목 경제부총리와 안덕근 산업부장관은 미국 베센트 재무부장관,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한미 2+2 통상협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2025.04.21. suncho21@newsis.com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통상 협상 관련 보고를 진행하기 위해 이철규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장실로 이동하고 있다.  오는 24일  미국에서 최상목 경제부총리와 안덕근 산업부장관은 미국 베센트 재무부장관,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한미 2+2 통상협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2025.04.21. suncho21@newsis.com 

[서울=뉴시스]정금민 오정우 기자 = 박찬대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한미 재무·통상 장관 '2+2 통상 협의'를 앞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21일 만나 "(한미 협상 과정에서) 성급하게 결론을 내지 말라"는 취지의 주문을 했다. 본격적인 한미 관세 협상과 최종 결정은 차기 정부 몫이라는 입장을 재차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진행된 박 직무대행과 안 장관 간 면담 이후 기자들과 만나 "안 장관이 미국에 가기 전에 관련 상임위원회와 각 당에 기본적인 정부 입장을 설명하러 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정부는 이번에 무슨 협상을 해서 결론을 내는 것은 아니고 미국 측의 상황을 좀 모니터링 하러 가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그것은 우리도 마찬가지다. 결론을 내지 말고 또 급하게 결정하지 말라고 박 직무대행이 주문했고 안 장관도 공감했다"고 했다.

이어 "(정부 측도) 자기들도 성급하게 결론을 낼 수 없다는 것이고, 관련해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지침도 없었다고 했다"며 "또 우리 (정부) 입장은 정리된 바가 없기 때문에 (상대 측에) 전달한 바 없다고 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정부 입장에서 가장 급한 것은 완성차 25% 관세 부과인 것 같은데 나머지는 오는 (90일간) 유예됐으니까 새 정부 출범 이후에 본격적으로 논의하는게 적절할 것 같다. 이번에 가서 최대한 얘기만 듣고 말을 최대한 아끼라고 했다"고 강조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도 이날 안 장관과 면담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안 장관은 "자동차·철강 관련 품목에 대한 관세 예외를 요청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산자중기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철규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면담 후 기자들과 만나 "고도의 정치적 부분은 슬로우(천천히 협상) 하고 경제 논리에 따라 뻔한 것은 빨리 매듭 짓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했다.

김원이 산자중기위 민주당 간사도 "안 장관은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고 차분하면서도 진지하게 협의해 나가겠다고 했다"며 "무역 균형, 조선 협력, 에너지 등을 중심으로 미국 측의 관심사항을 파악하고 관세 예외·감면 등을 설득하겠다는 목표를 얘기하고 또 기본입장에서 협의를 추진하겠다는 말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위원장도 박성민 국민의힘 간사도 동시에 얘기한 것은 '정권교체기다, 지금 현재 협상단이 무엇을 협상하기 어렵다는 생각을 하고 미국 측의 의도를 파악해서 와라'는 주문을 했다"고 전했다.

한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 장관은 오는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 및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한미 2+2 통상 협의를 진행한다. 안 장관은 필요 시 한미 관세 협상 관련 결과를 추후 국회에 보고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happy7269@newsis.com, friend@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