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네오테크밸리 사업권 어디로?…"1조원 PF 조달이 관건"
향토기업 원건설-대기업 포스코이앤씨 구도
시 "20% 출자 계획…신탁회사 개발은 배제"
![[청주=뉴시스] 청주 네오테크밸리 위치도.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1/19/NISI20250119_0001753366_web.jpg?rnd=20250119122143)
[청주=뉴시스] 청주 네오테크밸리 위치도.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청주=뉴시스] 임선우 기자 = 충북 청주시 네오테크밸리 일반산업단지 사업권을 따내기 위한 업체 간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향토기업인 원건설을 중심으로 한 ㈜청주네오테크밸리PFV가 보완서류 마감 후 사업적정성 검토에 돌입한 가운데 후발 주자인 네오테크밸리가 포스코이앤씨의 사업 참여를 확정하며 추격전에 나섰다.
청주지역 산업단지 조성사업에서 업체 간 복수 경쟁이 벌어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국가산업단지를 제외한 일반산업단지로서는 청주지역 최대 면적인 데다 2조원 안팎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점에 비춰 자금조달 능력이 사업권의 향방을 가를 것으로 보인다.
23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5월 산업단지계획 승인을 신청한 ㈜청주네오테크밸리PFV가 지난달 서류 보완을 마치고 청주시정연구원의 사업적정성 검토에 돌입했다.
이르면 이달 안에 사업 계획과 수행 능력에 대한 청주시의 판단이 나올 예정이다.
청주네오테크밸리PFV에는 원건설과 ED컴퍼니, LK홀딩스, IBK증권, SK증권이 참여하고 있다. 대주주는 원건설과 ED컴퍼니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맞서는 네오테크밸리는 지난해 9월 산업단지계획 승인을 신청한 뒤 서류 보완 절차를 밟고 있다. 6월 보완 완료 후 시정연구원의 사업적정성 검토를 거치게 된다.
네오테크밸리는 포스코이앤씨와 PFV 설립을 위한 주주 간 협약을 한 뒤 지난 18일 청주시에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평건설, 동명기술단, NH투자증권, 청우건축사무소 등과 ㈜오창인텔리전스파크PFV를 설립해 사업에 뛰어들 예정이다. PFV(프로젝트 금융투자회사)는 대규모 부동산 개발을 위해 여러 업체가 모여 설립한 특수목적회사(SPC)이자 명목회사다.
청주네오테크밸리PFV는 2033년까지 1조7000억원을 들여 399만2501㎡ 규모의 산업단지를, 오창인텔리전스파크PFV는 2030년까지 2조원을 투자해 440만㎡ 규모의 산업단지를 각각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사업 대상지는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각리·기암리·농소리·신평리·양청리·중신리·탑리, 흥덕구 옥산면 남촌리 일원 444만1267㎡다.
에어로폴리스(항공정비 부품산업), 클래식스마트밸리(IT·BT·소재부품), 밀레니엄타운(엔터·문화·관광)과 함께 청주국제공항 클러스터의 한 축을 담당할 항공산업 신도시로 육성된다.
국가산업단지인 오창과학산업단지(945만㎡), 오송제1생명과학단지(463만4000㎡)에 이은 청주지역 세 번째 규모이자 일반산업단지로는 최대 면적이다.
시는 두 PFV에 대한 사업적정성 검토를 마친 뒤 올해 하반기 중 사업 시행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사업 대상지는 2026년 10월3일까지 개발행위허가 제한을 받는다.
![[청주=뉴시스]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네오테크밸리 사업 대상지.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4/09/16/NISI20240916_0001655443_web.jpg?rnd=20240916092937)
[청주=뉴시스]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네오테크밸리 사업 대상지.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관건은 자금 조달능력과 책임준공 가능 여부다.
시는 이 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규모를 1조원 안팎으로 보고 있다.
PF를 대출한 금융권 대주단은 통상적으로 신용 보강을 위해 책임준공 확약을 요구하는데, 시공능력이 낮은 건설사일수록 PF 대출 책임준공 보증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책임준공 확약을 한 시공사는 기간 내 공사를 완료하지 못할 경우 대주단에 대한 시행사의 채무를 떠안게 된다.
현재 청주지역에서 개발 중인 산업단지 6곳 중 5곳이 이 방식을 통한 대기업 시공을 하고 있다. 원건설은 2019년 오창테크노폴리스 사업권 인수 당시 PF 대출 실행을 위한 책임준공 보증을 하지 못해 부동산신탁회사로 사업시행자를 변경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는 오창테크노폴리스와 달리 청주테크노폴리스처럼 20% 출자를 계획 중이다. 산업단지의 공익적 기능과 공공성을 확보하고자 주주로서의 권리를 행사하고 공공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한 이유에서다.
시 관계자는 "시공능력평가와 자본금, 출자금, PF 대출 가능 범위, 책임준공 확약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 올해 하반기 중 사업시행자를 선정할 것"이라며 "사업시행능력 검증 외에 특정 기업을 우대하거나 홀대하는 것은 없다"고 말했다.
산단계획 승인 신청을 먼저 한 원건설 측은 승인 심사 과정에서 다른 업체의 투자의향서와 산단계획 승인 신청을 접수한 청주시에 반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보다 앞선 2021년 투자의향서를 냈던 신영은 2024년 3월 사업 포기 의사를 제출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imgiza@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