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 성공…궤도 진입 후 지상교신(종합2보)
22일 오전 미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기지서 발사
1~4호기 군집운용 통해 북한 도발징후 빠르게 식별
연내 정찰위성 5호기 발사 계획…425사업 마무리 수순
![[서울=뉴시스] 미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우리 군 정찰위성 4호기(SAR)가 발사되고 있다. (사진=국방부 제공) 2025.04.2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4/22/NISI20250422_0001824198_web.jpg?rnd=20250422131620)
[서울=뉴시스] 미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우리 군 정찰위성 4호기(SAR)가 발사되고 있다. (사진=국방부 제공) 2025.04.2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옥승욱 기자 = 우리 군이 정찰위성 4호기(SAR) 발사에 성공했다.
국방부는 22일 "군 정찰위성 4호기가 이날 오후 12시 27분 기준(한국시간) 으로 지상국과의 교신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정찰위성 4호기는 이날 오전 9시 48분경 (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소재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기지 기지에서 발사됐다.
군 정찰위성 4호기는 1~3호기와 동일하게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Ⅹ의 '팰컨-9(Falcon-9)' 발사체에 실렸다. 팰컨-9은 2단 액체 추진(케로신+액체산소) 로켓이다. 세계 유일의 재사용 발사체이다. 올해 3월 말 기준 450회 발사 가운데 405회 착륙에 성공했다.
군 정찰위성 4호기는 발사 약 15분 후 팰컨-9 발사체로부터 정상적으로 분리돼 목표궤도에 안착했다. 약 56분 뒤에는 지상국과의 교신에도 성공하며 위성 상태가 양호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정찰위성 4호기는 앞으로 국방과학연구소(국과연) 주관 위성의 성능을 확인하는 우주궤도시험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군 주관으로 진행하는 운용시험평가를 거쳐 본격적으로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국방부와 방사청은 “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 성공으로 우리 군은 독자적인 감시정찰 능력을 추가 확보했다"며 "한국형 3축 체계의 기반이 되는 핵심전력의 증강으로 킬체인 역량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찰위성 4호기 발사에 성공하며 우리 군은 지난해 8월 전력화를 완료한 1호기, 전력화 정상 진행 중인 2~3호기와의 군집운용을 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한반도 재방문 주기를 추가 단축해 북한의 도발 징후를 더욱 정확하고 빠르게 식별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군은 '425사업'의 일환으로 군정찰위성을 지속 발사하고 있다. 425사업은 북한 핵·미사일 도발징후 탐지 및 종심지역 전략 감시를 위해 군 정찰위성 1세트를 확보하는 사업이다.
오는 2025년까지 전자광학(EO)·적외선(IR) 장비 탑재 위성 1기와 고성능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 4기 등 고해상도 중대형 군사위성 5기를 발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울=뉴시스] 미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발사대에 기립 중인 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체 모습. (사진=국방부 제공) 2025.04.2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4/22/NISI20250422_0001824199_web.jpg?rnd=20250422131728)
[서울=뉴시스] 미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발사대에 기립 중인 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체 모습. (사진=국방부 제공) 2025.04.2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앞서 우리 군은 2023년 12월 2일 1호기 발사를 시작으로 지난해 4월 8일과 12월 21일 각각 2, 3호기를 발사한 바 있다. 우리 군은 연내 5호기 발사까지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1호기인 EO·IR 위성은 가시광선으로 영상을 촬영해 영상의 가독성이 뛰어나다. 또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탐지하기 때문에 야간촬영 및 표적 열 감지도 가능하다. 하지만 야간이나 구름 등 기상조건의 제약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SAR위성은 레이다에서 전파를 발사해 반사돼 되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해 영상을 생성하는 군 정찰위성이다. 기상에 상관없이 주·야간 전천후 고해상도 영상 촬영 및 정보수집이 가능하다.
발사관리단장인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은 "이번에 발사 성공한 4호기에 이어 올해까지 군 정찰위성을 모두 발사할 예정"이라며 "향후 현재 개발 중인 초소형 위성까지 발사하게 되면 우리 군은 독자적인 우주전력을 구축하여 국방우주 강군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추가적으로 우주작전 수행능력을 고도화하기 위해 국내 지상 발사장을 구축하고, 우리 기술로 개발한 발사체로 위성을 발사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okdol99@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