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환자, 뇌졸중·심근경색 위험증가…'이것' 관리 필수
체중 10% 증가시 심혈관질환 위험 66% 증가
심부전 위험 85% 증가…꾸준한 체중관리 필수
50대미만 비만 지속되면 3.5배까지 위험 커져
![[서울=뉴시스]왼쪽부터 신동욱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 통계학과 교수, 정원영 펜실베니아대 박사. (사진= 삼성서울병원 제공) 2025.04.23.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4/23/NISI20250423_0001824937_web.jpg?rnd=20250423090559)
[서울=뉴시스]왼쪽부터 신동욱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 통계학과 교수, 정원영 펜실베니아대 박사. (사진= 삼성서울병원 제공) 2025.04.23. photo@newsis.com.
유방암 환자의 경우 타목시펜(Tamoxifen)과 같은 항호르몬 치료를 받고, 신체 활동량이 감소하는 등 여러 이유로 상당수가 체중 증가를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다.
신동욱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 통계학과 교수, 정원영 펜실베니아대 박사 연구팀은 유방암 환자의 암 진단 전후 체중 변화에 따른 심혈관질환과 심부전 발병 위험을 분석한 결과를 23일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해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유방암 치료를 마친 환자 약 4만 3000명을 진단 전후 체중 변화량에 따라 ▲10% 이상 대폭 감소군 ▲5 ~ 10% 중등도 감소군 ▲5% 내 유지군 ▲5 ~ 10% 이상 중등도 증가군 ▲10% 이상 대폭 증가군으로 나눈 뒤 약 4.7년(평균)간 추적 관찰했다.
연구 참여자 중 약 11%는 진단 전에 비해 5~10%의 중등도 체중 증가를, 약 4%는 10% 이상의 심한 체중 증가를 경험했다.
연구 결과 유방암 진단 전 대비 체중이 10% 이상 증가한 환자의 경우 진단 전과 비교해 5% 이내로 체중을 유지했던 환자에 비해 전체적인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66% 높아졌다. 심근경색과 뇌졸중은 각각 83%까지 증가했다. 심부전의 경우 유방암 환자의 체중이 5%~10% 늘어나면 59% 증가했고, 10% 이상 늘어나면 심부전 발생 위험이 85%나 증가했다.
비만과 체중 증가의 영향은 특히 50세 이하의 젊은 유방암 환자에서 높았다. 진단 전후 비만(체질량지수 25 이상)상태였던 50세 미만 젊은 유방암 환자는 비만하지 않은 군에 비해 심혈관질환 위험이 3.58배(258%)나 높았다.
연구팀의 정원영 박사(펜실베니아대 심장종양학 프로그램 박사 후 연구원)는 “유방암은 40~50대에 호발해 항암, 호르몬 치료 등으로 치료 중이나 후 폐경기 변화를 겪으며 체중이 느는 경우가 많다”며 “유방암 재발 및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측면에서 체중 관리가 중요함을 규명한 연구”라고 강조했다.
연구책임자 신동욱 교수는 “식사 조절과 중등도 이상의 운동을 통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생활습관만으로 체중 관리가 잘 안되는 경우에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GLP-1 유사체 등의 약물 치료를 받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또 “미국 등의 국가에서는 최근 암환자들의 심혈관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심장종양학(cardio-oncology)프로그램이 생겨나고 있다”며 “우리나라에서도 암 치료와 더불어 심혈관 건강에 대한 전반적인 케어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유방암 연구와 치료(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및 ‘미국의사협회종양지(JAMA Oncology)’ 최근호에 각각 실렸다.
◎공감언론 뉴시스 positive100@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