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인터뷰] 신현석 부산연구원장 "부산, '기후테크' 중심지로 만들겠다"

등록 2023.01.30 06:3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환경재난 잦은 부산, 기후테크 개발이 대안

현장에 중심을 두고 연구하는 기관 만들 것

취수원 다변화, 부산 내에서 대책 강구해야

중앙정부에만 몰린 에너지 권한, 분산 필요

[부산=뉴시스] 이동민 기자 = 부산연구원 신현석 원장. 그의 두 손엔 부산연구원의 비전을 담은 '지방시대, 부산 먼저 미래로' 책자가 쥐어져 있다. 2023.01.26. eastsky@newsis.com

[부산=뉴시스] 이동민 기자 = 부산연구원 신현석 원장. 그의 두 손엔 부산연구원의 비전을 담은 '지방시대, 부산 먼저 미래로' 책자가 쥐어져 있다. 2023.01.26. [email protected]


[부산=뉴시스]이동민 기자 = "부산에는 매년 여름 태풍과 거센 해일이 찾아옵니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이러한 자연 현상은 앞으로 더 잦을 겁니다. 바다와 마주한 부산이 계속해서 겪을 재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기후테크'를 끊임없이 연구하며 발전시켜 나가야 합니다."

신현석 부산연구원장은 지난 26일 뉴시스와의 인터뷰에서 '기후테크'에 대해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신기술을 개발하는 산업"이라고 정의하면서 "지구온난화에 따른 위기를 부산시가 적극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기후테크를 성장의 발판으로 삼아야 한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지난해 11월 취임한 신 원장은 부산연구원을 두고 "현장에 중심을 두고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산연구원이 단순히 싱크탱크의 역할을 넘어 하나의 '액션 플랫폼'이 돼야 한다"라면서 "정책 마련을 위해 연구만 하는 역할을 넘어 현장 곳곳을 직접 발로 뛰며 지역 현안을 귀담아듣고 필요한 대안을 발 빠르게 제안하는 기관이 될 수 있게 하겠다"고 자신했다.
 
신 원장은 수자원공학 전문가로서 환경부 낙동강 오염총량관리 조사반, 국토교통부 국가저영향개발 연구단장, 한국수자원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며 물 관련 국가 정책 연구에 참여해왔다.

그는 "더이상 타 지자체에 물을 달라고만 할 수 없는 노릇"이라며 "기장에 지어진 해수담수화시설을 활용하거나 빗물 저류시설을 확충하는 등 부산 지역 내에서의 취수원 확보 방안도 적극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원장은 대통령 직속기관인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산하 공정전환·기후적응 분과위원회 위원장직도 함께 맡고 있다. 분과위원회에 대해 그는 "기후위기에 따라 발생하는 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정책을 만들고 수행하는 조직"이라고 소개하면서 "위원회 활동을 바탕으로 부산이 환경재난으로부터 대비할 방안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부산=뉴시스] 이동민 기자 = 부산연구원 신현석 원장이 서부산 지역을 가리키며 부산연구원의 비전을 설명하고 있다. 2023.01.26. eastsky@newsis.com

[부산=뉴시스] 이동민 기자 = 부산연구원 신현석 원장이 서부산 지역을 가리키며 부산연구원의 비전을 설명하고 있다. 2023.01.26. [email protected]


다음은 신 원장과의 일문일답.

-취임 이후 3개월을 맞았는데 소감은.

"취임 직후 부산연구원 직원들에게 부산연구원이 단순히 싱크탱크의 역할을 넘어 하나의 '액션 플랫폼'이 돼야 한다고 늘 말한다. 지난 25일에는 연구원 박사들과 영도구청에 방문해 구청장과 인구소멸 문제를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연구자들도 현장의 이야기를 들어야 부산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연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올해 16개 구·군별 정책 119 사업(가칭)을 운영해 지자체 각각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할 방안을 내놓겠다."

-부산의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책에 있어 잘한 점과 개선해야 할 점을 짚는다면.

"기후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단순히 기온상승을 저지하는 것보다도 어떻게 적응할지 대책을 세우는 게 중요하다. 부산시가 태풍이 발생했을 때 재난 발생 시 대피를 어떻게 할 것이며, 탄소 중립 정책을 이행하기 위한 대처 방안을 마련하는 등 전반적인 행정적인 기후 위기 대응은 잘하고 있다고 본다. 다만 앞으로는 극심해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기후테크'를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기후테크라는 단어가 생소하다. 자세한 설명 부탁한다.

"기후테크란 다가오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신기술을 개발하는 산업을 의미한다. 바다와 강을 함께 끼고 있는 부산은 매년 태풍과 녹조 문제 등을 겪고 있다는 점에서 기후테크를 발전시키기에 적합한 도시다. 우리는 위기를 기회로 전환해야 한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가령 태풍에 대비하기 위해 어떻게 막을지에 관한 새로운 방안을 연구하거나, 녹조 현상을 없애기 위한 신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기후테크의 예가 될 것이다."

-기후테크 발전이 부산에 가져다주는 이점은 무엇인가.

"기후테크는 물과 환경, 에너지 산업을 아우른다. 기후 대응과 함께 부산에서 환경과 관련한 산업도 발전할 수 있다. 우리는 숱하게 겪어오는 환경 재난을 기술과 정책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본다. 기후테크에 대해 부산시가 적극적으로 발전시켜 나간다면 부산의 또 다른 성장 모멘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연구원도 이에 관한 연구를 계속해서 진행하려 한다."

-기후테크가 부산의 동서균형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까.

"신공항이 들어서는 가덕도와 해양연구기관이 밀집한 영도 등 서부산의 바다 인근 지역을 기후테크의 중심지로 만들 수 있다면 동서균형발전의 기틀이 될 수 있을 거라 본다. 나아가 부산이 기후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을 전 세계에 알린다면 2030세계박람회 유치에도 큰 힘이 될 수 있다."

-부산의 취수원 다변화도 시급한 과제로 꼽히는 데 대안이 있다면.

"부산 지역 내에 갖춰진 산업 시설을 이용해 취수원 문제를 극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취수 확보를 위해 경남 합천과 창녕에 기대기만 하는 것만으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힘들다. 현재 가동되지 않은 기장의 해수담수화시설을 다시 가동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시민들이 해수담수화시설 인근에 위치한 원전으로 인한 환경 문제를 제기한다면 가덕도나 영도로 옮기는 방안도 논의돼야 한다고 본다. 여기에 빗물을 취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저류시설을 갖추는 것도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는 중앙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할 텐데.

"어린아이 둘이 사탕을 가지고 다툰다면 어른이 나서는 게 맞지 않은가. 마찬가지로 중앙에서 지자체 간의 갈등을 중재해 해결해 나가야 한다. 권한이 부족한 지자체가 서로 합의한 후 대안을 내놓고 정부로부터 사업비를 받아오는 방식으로는 더 이상 취수원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수도권과 지역 간 에너지 불균형 문제에 관한 견해는.

"물과 마찬가지로 에너지를 관리하는 권한도 중앙에 있다. 원자력 에너지를 생산하는 원전의 경우에도 한국수력원자력, 즉 정부가 관리하지 않는가. 방사능의 위험을 떠안고 원자력 에너지를 생산하는 지역이라면 에너지를 분배할 수 있는 권한도 줘야 한다고 본다. 그러한 점에서 지역별로 에너지 자립이 이뤄질 수 있는 정책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임기 내 이루고 싶은 게 있다면.

"연구원을 위한 독립연구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단순히 독립된 공간이 아닌 '그린 스마트 캠퍼스'라는 모토 아래 지역 발전을 위한 쾌적한 공간을 조성하고 싶다. 현재의 공간은 규모로 봤을 때 열악하다고 생각한다. 연구원을 위한 새로운 공간이 만들어져야 그만큼 좋은 정책을 연구할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