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일본서 환수한 '동여도' 품은 '대동여지도', 오늘 첫 공개

등록 2023.03.30 09:00:00수정 2023.03.30 09:27:3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올해 3월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서 공개

총 23첩...병풍식으로 접을 수 있어

[서울=뉴시스] 전체를 펼친 대동여지도 (사진=문화재청 제공 ) 2023.03.3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전체를 펼친 대동여지도 (사진=문화재청 제공 ) 2023.03.30.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일본에서 환수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가 첫 공개된다. 30일 오전 10시 30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선보인다.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에 따르면 대동여지도는 유물 소장자가 매도 의사를 밝히면서 존재가 확인됐다. 정보 입수 이후 문화재청의 적극적인 행정 지원과 수차례에 걸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김정희)의 면밀한 조사, 관계자간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이달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

이번에 환수된 '대동여지도'는 국내에서 최초 확인된 '동여도'의 주기 내용이 필사된 '대동여지도' 판본이다.

30일 문화재청은 "국내 소장된 '대동여지도' 갑자본과 '동여도'가 희소하다는 점 등으로 볼 때 조선의 지도 제작과 활용을 살펴볼 수 있는 연구 자료일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지리 정보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환수된 '대동여지도'매입은 정부혁신 사업으로 복권기금으로 추진됐다.

[서울=뉴시스] 대동여지도 (사진=문화재청 제공:) 2023.03.3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대동여지도 (사진=문화재청 제공:) 2023.03.30.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동여도' 품은 대동여지도...18000여 개 지명 실려

조선의 지리학자이자 지도 전문 출판자인 김정호(金正浩, 1804 추정〜1866 추정)가 1861년에 처음 제작·간행하고, 1864년에 재간한 22첩의 병풍식 전국 지도첩이다. 크기는 각 30cm × 20cm로 전체로 펼치면 약 6.7m × 약 4m다.

이번에 환수된 '대동여지도'는 1864년 제작된 목판본에 가필, 색칠하고 '동여도'에 기술되어 있는 지리정보를 필사(筆寫)해 추가한 것으로, '동여도'와 '대동여지도'가 하나의 지도에 담겨져 있다.

'동여도'는 김정호가 '대동여지도'의 저본(底本)으로 삼았던 것으로 볼 수 있는 조선전도로, 조선시대의 교통로와 군사시설 등의 지리 정보와 약 18000여 개에 달하는 지명이 실려 있는 채색 필사본이다. 이에 반해 찐 '대동여지도'는 목판으로 새겨야 하는 한계 때문에 많은 지명들과 주기(註記)가 생략되어 있다.

문화제청은 "이번에 환수된 지도는 목판본인 '대동여지도'의 한계를 '동여도'의 주기 내용을 필사해 보완한 최초의 사례로 확인됐다"며 "'대동여지도'가 보급되면서 변용된 형태로 추정된다. 국내에 소장되어 있는 '대동여지도'와는 다른 구성과 내용을 가지고 있기에 이번 환수는 더 큰 의미를 가진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대동여지도 목록 (사진=문화재청 제공) 2023.03.3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대동여지도 목록 (사진=문화재청 제공) 2023.03.30.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크기: 각 30cm × 20cm / (전체 개첩시) 약 6.7m × 약 4m

환수된 '대동여지도' 총 23첩...병풍식으로 접을 수 있어

이번 유물은 총 23첩(목록 1첩, 지도 22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동여도'의 형식을 따른 것으로, 일반적인 '대동여지도'는 목록이 따로 없으며 22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를 남북으로 120리 간격으로 구분하여 22층을 만들고, 각 층을 병풍식으로 접을 수 있는 첩으로 만든 것은 '동여도'와 '대동여지도'가 같다.

주기 내용이 대부분 필사되어 상세한 지리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주목할 만하다. 예를 들어, 백두산 일대가 묘사되어 있는 제2첩의 경우 '대동여지도'판본에는 없는 ‘백두산정계비’와 군사시설 간의 거리가 필사되어 있다. 또한 울릉도 일대가 묘사되어 있는 제14첩에는 '대동여지도'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울릉도로 가는 배의 출발지 등의 내용이 필사로 적혀 있다.

세부적인 구성에서도 그동안 국내에서 확인된 '대동여지도'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대표적인 예로 '대동여지도'의 지도유설은 1첩에 간인(刊印)되어 있으나 이번 유물은 지도의 빈 공간에 필사되어 있으며 그 내용도 동여도의 것과 같다. 또한 대동여지도 판본에서는 2면에 걸쳐 인쇄되어 있던 강원도 삼척부와 울릉도 일대가 1면으로 축소되어 배치되어 있는 점은 '동여도'의 배치 형식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