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79일 만에 '비대위' 종료…경영 정상화
2일부로 비대위 해체하고 소위원장 인사 발령
남궁훈 전 대표, 미래이니셔티브센터 상근 고문 맡기로
원인조사·재발방지·피해보상 등 비대위 활동 마무리
SK C&C 구상권 청구 나설듯…손해배상 규모 관건
[성남=뉴시스] 김금보 기자 = 남궁훈·홍은택 카카오 각자대표가 19일 경기 성남시 카카오판교아지트에서 데이터 센터 화재로 인한 대규모 먹통 사태와 관련해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을 한 뒤 인사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2.10.1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최은수 기자 = 지난해 10월15일 서비스 장애로 비상 경영에 돌입했던 카카오가 재발방지책 발표, 피해보상 등을 마무리 짓고 경영 정상화에 나선다.
1일 카카오에 따르면 오는 2일 서비스 장애 대응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를 해체하고 비대위 소위원회를 이끌어온 소위원장 등에 대한 인사 발령을 낸다. 비대위 해산과 후속 처리는 별도 TF에서 진행한다.
이는 지난해 10월15일 카카오 장애 사태 다음 날 비대위가 출범한 지 79일 만이다. 카카오는 사고 원인 조사와 재발 방지 대책, 보상 대책 등을 마련하기 위해 비대위를 꾸렸다.
장애 사태에서 책임을 지기 위해 카카오 대표직을 내려놓고 비대위 재발방지대책 소위원장을 맡았던 남궁훈 전 대표는 카카오의 미래 전략을 총괄하는 미래이니셔티브센터 내 상근 고문을 맡는다. 남궁 전 대표는 이곳에서 카카오의 미래 사업, 글로벌 사업 등에 대해 자문 역할을 할 예정이다.
남궁 전 대표와 함께 재발방지대책 소위원회를 이끌었던 고우찬 카카오엔터프라이즈 CCO(최고 클라우드 책임자)는 최근 홍은택 대표 직속으로 신설된 인프라 부문을 이끈다. 인프라 부문은 IT 엔지니어링 전담 조직을 부문으로 격상한 것이다.
비대위에서 제3자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장애 원인을 면밀히 조사하기 위해 원인조사소위원장으로 영입됐던 이확영 그렙 대표도 본업으로 돌아간다.
장애 원인, 재발방지 대책 마련, 피해보상 등 비대위 활동이 마무리되면서 자연스럽게 비대위 해체를 결정했다고 카카오 측은 설명했다. 단, 추후 피해지원 등은 지속 진행한다는 설명이다.
카카오는 앞서 지난해 11월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이프 카카오'를 통해 서비스 장애 원인 분석, 재발방지를 위한 기술적 개선, 미래투자와 혁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남궁 소위원장은 "카카오 ESG의 최우선 과제는 ‘우리의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것’ 그 자체였다"라며" 부족했던 데이터 이중화를 비롯해 인프라 개선을 위한 세 가지 실천과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인프라 하드웨어 설비부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전체 시스템을 다중화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아울러 카카오는 안산 데이터센터를 2024년 오픈하는 것을 목표로 총 46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시공 중이다. 이와 함께 인프라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기술적 개선을 실행하기 위해 지난 5년간 투자 금액의 3배 이상 규모로 투자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BCP(비상대응계획)를 강화하고 DR(재난복구) 구조를 3중화 플러스 알파의 구조로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피해보상 방안도 예상 대비 빠르게 일단락 됐다. 카카오는 앞서 지난 11월 외부 전문가와 민간 단체가 참여하는 ‘1015 피해 지원 협의체’를 구성했고, 지난달 29일 피해보상안을 발표했다. 협의체는 피해를 접수한 소상공인 가운데 매출 손실 규모액이 30만원 이하인 경우 3만원, 30만원 초과 50만원 이하인 경우 5만원을 지원한다.
아울러 카카오는 일반 이용자 대상으로 이모티콘 총 3종을 제공할 예정이다. 내달 5일부터 사용 가능하며 영구 사용 1종과 90일 사용 2종으로 구성된다. 카카오메이커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감사 쿠폰 2종, 카카오톡의 데이터 관리 서비스 ‘톡서랍 플러스’ 1개월 이용권(300만명)도 추가로 제공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카카오가 피해 보상을 마무리하면 SK C&C를 상대로 구상권을 행사하는 소송에 돌입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쟁점은 화재 사고의 책임이 있는 SK C&C가 어느 범위까지 손해배상을 해야 되느냐가 될 것으로 보인다. SK C&C가 가입한 일반 배상책임보험의 보상한도는 70억원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카카오 관계자는 "구상권 여부는 내부 논의해서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