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우주청 표류에 항공산업 뒷전"…항공우주산업협회의 작심발언

등록 2023.11.29 06:00:00수정 2023.11.29 14:30:3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韓 항공산업, OEM만 하는 후발국 신세…AAM 선도 기회 잡아야

"우주청 미뤄지며 산업부·과기부도 혼란…국회 속도 높여야"

우주청 설립 후 '3각 특화지구' 제언도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25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형 우주 발사체 누리호가 발사되고 있다. (사진=항우연 제공) 2023.05.2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25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형 우주 발사체 누리호가 발사되고 있다. (사진=항우연 제공) 2023.05.2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사천=뉴시스]윤현성 기자 = "우주항공청 출범이 표류하면서 항공 산업의 피해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28일 김민석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KAIA) 상근 부회장은 최근 우리나라의 우주항공산업 현황에 대해 이같이 꼬집었다. 우주와 항공 기술 분야를 아울러 전 세계 국가들이 R&D(연구개발) 경쟁에 뛰어드는 상황에서 혼란이 계속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김 부회장은 항공 산업 분야의 기회가 찾아온 상황에서 우주항공청 설립안을 두고 정부, 국회가 혼선을 이어가면서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1903년 라이트형제가 최초의 동력 비행기를 날리는 데 성공한 이후 20세기 초부터 미국, 영국, 캐나다, 러시아 등 전통적인 선진국들은 항공 산업을 현재까지도 지배하고 있다. 이들이 항공산업을 선도하면서 항공기의 각종 부품들, 화장실이나 좌석의 커피홀더 하나까지 인증·허가체계를 구축하면서 막대한 이득을 얻고 있다는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 재료값은 1000원 수준인 항공기 부품이 인증체계 비용으로 인해 수만원대로 뛰는 경우도 허다하다.

후발국에 해당하는 한국의 항공산업은 미국 보잉, 유럽 에어버스 등 주요 기업들이 필요한 것을 생산·납품해주는 OEM(위탁 제조) 방식에 그치고 있다. 이같은 OEM 방식도 우리나라의 인건비가 동남아시아, 인도 등에서 경쟁력에 밀리며 산업 자체가 성장 한계에 봉착한 상황이다.

하지만 최근 UAM(도심항공교통)을 시작으로 더 나아간 AAM(선진항공교통) 등이 새로운 산업으로 떠오르면서 전통 항공 분야에서는 후발국인 우리나라도 신산업의 선도국이 될 기회가 생기고 있다. 아직 AAM 기술을 두고는 명확한 인증체계나 허가제도가 만들어지지 않은 만큼 발빠르게 유리한 입지를 점해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향후 항공 산업 분야를 전담해야 할 우주항공청 설립이 올해 내내 표류하면서 AAM 산업 분야에서도 전통 항공 산업처럼 OEM국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게 KAIA의 우려다.

 KAIA에 따르면 우주항공청이 생긴다 하고 관련 법안이 묶여버리면서 산업부와 과기정통부 모두 항공우주 분야에 추가적인 예산사업을 기획하고 추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산업부 소관의 항공 사업은 5개 중 2개가 신규예산 배정에서 탈락했고, 계속 사업도 정부 R&D 예산 삭감과 함께 예산이 약 20~30% 줄었다는 전언이다.
[사천=뉴시스]김민석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KAIA) 상근부회장이 우주항공산업의 미래와 발전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윤현성 기자)

[사천=뉴시스]김민석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KAIA) 상근부회장이 우주항공산업의 미래와 발전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윤현성 기자)


또 AAM 산업이 본격화되면 모빌리티 기기를 제어할 6G 위성통신산업도 함께 발전해야 하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도 정부가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미국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중국의 궈왕 프로젝트 등은 향후 수년 내 1만개 이상의 위성을 쏘아올려 통신환경 대변혁을 꾀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도 우리나라의 항공우주업계는 안전성이 가장 중요한 우주 산업에서는 이미 수차례 실사용된 검증된 방식만 사용한다는 관념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스페이스X가 기존에 쓰지 않던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 자동차 펌프 등을 사용하는 파격으로 엄청난 효율성을 보여주고 있음에도 과거에만 머물러 있다는 게 KAIA의 지적이다.

이에 대해 김 부회장은 "스마트폰 시대에 타자기·필름 카메라만 보고 있는 게 지금 우리나라 우주 산업의 현실"이라며 "우주항공청 중심의 리더십이 있어야 현실을 바꿀 수 있다. 이건 정쟁으로 뒤덮어선 절대 안되는 일인데, 그건 결국 우리 청년들의 꿈과 희망의 발목을 잡는 것 뿐"이라고 역설했다.

KAIA는 우주항공청이 설립된 이후 항공우주산업을 육성시키기 위한 제언도 제시했다. 우주항공청을 중심으로 전 국토에 항공우주클러스터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는 것. 발사체 조립의 대전, 항공기·위성·엔진 제작의 사천, 발사장 구축의 고흥을 '우주 3각 특화지구'로 삼자는 것이 골자다. 이에 더해 성남 판교, 구미, 울산, 제주 지역을 항공우주 혁신클러스터로 지정해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부회장은 "우주항공청이 생기고 나면 중소기업 스마트 클러스터 추진을 본격적으로 제안할 것"이라며 "스페이스X도 로켓 발사 등은 수차례 실패하곤 하는데, 현재 우리나라 시스템에서는 그런 사업은 곧바로 폐지될 수 있다. 우주 분야는 실패를 무릅쓰고 계속 나아가야 하는데, 우주항공청이 생기면 이같은 장기적인 계획에 대한 논의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syhs@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