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눈에 중풍이?…시력 흐려진 고혈압 환자라면 '이것' 의심

등록 2024.05.22 07:01:00수정 2024.05.22 07:08:5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망막혈관폐쇄, 혈관이 막혀 시력이 감소

고혈압 등 기저질환 관리…안전검사 중요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2023년도 첫 병역판정검사일인 지난해 2월 1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서울지방병무청 제1병역판정검사장에서 병역판정 대상자들이 시력측정을 받고 있다. 해당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2023.02.01.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2023년도 첫 병역판정검사일인 지난해 2월 1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서울지방병무청 제1병역판정검사장에서 병역판정 대상자들이 시력측정을 받고 있다. 해당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2023.02.0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우리 신체 중에서 눈에도 중풍이 발생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22일 의료계에 따르면 중풍(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파열돼 뇌 조직 내부로 혈액이 유출되는 뇌출혈을 의미한다.

혈관이 막혀 시력 감소를 초래하는 질환을 '망막혈관폐쇄'라고 한다. 망막은 중요한 신경조직으로 구조가 얇은 막이며, 그물과 같은 모양으로 혈관들이 복잡하게 퍼져있다.

망막에는 망막에 피를 공급해주는 망막 동맥, 망막에서 사용한 피를 다시 심장으로 보내는 망막 정맥, 망막 동맥과 망막 정맥에서 갈라져 나온 혈관인 분지가 있다. 폐쇄된 망막 혈관의 위치에 따라 중심동맥폐쇄 또는 중심정맥폐쇄, 분지동맥폐쇄 또는 분지정맥폐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망막혈관폐쇄 진료 환자는 10년간 약 70% 늘었다. 망막혈관폐쇄 환자는 2011년 4만 4010명에서 2021년 7만 5154명으로 증가했다. 망막혈관폐쇄의 주요 증상은 시력 저하로 폐쇄된 위치에 따라 시력 저하의 정도 및 저하 속도에 차이가 있다.

망막중심 동맥폐쇄는 급격한 시력장애를 보이며, 망막분지 동맥폐쇄는 폐쇄된 위치에 따라 시력 저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망막중심 정맥폐쇄 또한 시력이 현저히 감소한다. 시력장애로 안과를 방문하게 되면 안저검사를 실시한 후 혈관폐쇄를 관찰한다.

망막동맥폐쇄는 안과에서 초응급에 해당하는 질환으로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하다. 즉시 응급실을 방문해 발병 후 2시간 이내에 적극적으로 안압을 낮춰야 하며 폐쇄가 2시간 이상 지속되면 시력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

망막정맥폐쇄는 망막의 전반적인 허혈에 의한 신생혈관이 생기지 않도록 레이저를 이용한 광응고술을 시행한다. 망막중심 정맥폐쇄의 경우에는 망막중심 동맥폐쇄보다는 시력 감소가 심하지 않지만 합병증으로 신생혈관 녹내장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병의 경과 및 치료 결과가 매우 나쁘다.

주로 고혈압이 있는 경우 망막 혈관폐쇄가 일어날 가능성이 커진다. 고혈압이나 당뇨, 동맥경화 환자의 경우 기저질환을 잘 관리하고 노안이 시작되는 40대부터는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아야 한다. 아울러 적정 체중 유지 및 금연, 금주 실천이 중요하다.

망막혈관폐쇄는 급격한 시력저하는 물론 벌레가 눈앞에 떠다니는 비문증, 시야 중심부가 가려지는 중심암점 등을 동반할 수 있다. 특히 날이 추워질수록 혈관이 수축하는만큼 겨울철에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도 알려진다.

세란병원 김주연 안과센터장은 "눈 혈관이 막히는 망막혈관폐쇄는 급격한 시력저하 외에 특별한 전조증상이 없어 위험한 질환"이라며 "망막혈관폐쇄는 주로 50세 이상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시력이 흐려지는 증상을 노안으로 오인하기 쉽다"고 설명했다.

이어 "망막혈관폐쇄를 예방하려면 고혈압 등 기저질환을 잘 관리해야 하며, 1년에 1~2회 이상 안저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며 "비만은 동맥경화를 유발할 수 있어 적정 체중을 유지해야 하며 고혈압과 고지혈증을 유발하는 음주는 가급적 삼가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