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해남 거칠마 토성서 고대 마한 제사 의례용 공간 발견

등록 2024.06.20 10:20: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국가유산청은 "제사유적 사례 중 최대 규모"

[서울=뉴시스] 해남 거칠마 토성 북문지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4.06.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해남 거칠마 토성 북문지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4.06.20.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국가유산청은 해남 거칠마 토성에서 마한 때 만들어진 제사 의례 공간을 발견했다고 20일 밝혔다.

해남 거칠마 토성은 전체 둘레가 385m, 면적은 6000여㎡로, 거칠매산 정상부를 감싸며 토루를 담처럼 쌓아 만들어졌다.

한반도, 중국, 일본 등 동북아 고대 세력들이 사용하던 서남해 해양항로 거점지역으로 주변 해양교류사를 확인할 수 있는 많은 유적이 발견됐다. 고대 해양항로를 관장하며 제사가 지내졌던 지역으로 추정된다.

이번 발굴조사에서 토성 정상부에서 사각형 제단과 제단 안에서 계단과 문지 등 출입시설, 입대목을 세운 대형 기둥 구멍을 비롯해 물을 모으는 대형 점토집수정이 확인됐다. 

특히 제단 바로 동쪽에서 확인된 대형 집수정은 찰진 점토를 두텁게 발라 땅속에 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인공으로 물을 가둬두는 형태다.
[서울=뉴시스] 해남 거칠마 토성 점토 집수정 모습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4.06.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해남 거칠마 토성 점토 집수정 모습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4.06.20.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거칠매산 정상 부분에 제단을 마련하고 대형 기둥을 세웠던 것으로 보이는 구멍은 입대목 의례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둥 구멍 지름은 110㎝, 깊이 90㎝에 달한다.

'삼국지' 위서(魏書)와 '동이전' 기록에 따르면 마한 문화 중 가장 특징적인 별읍(別邑) 즉 소도가 있었다. 죄인이라도 소도로 도망해 숨으면 잡아가지 못했다고 전해진다.

소도 관련 기록에 있는 '입대목현령고사신'을 통해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을 걸어 신령을 모시는 풍습인 입대목(立大木) 제사의례가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서울=뉴시스] 해남 거칠마 토성 입대목(立大木) 추정 구멍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4.06.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해남 거칠마 토성 입대목(立大木) 추정 구멍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4.06.20.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제단에서 7㎝에 달하는 철제방울도 나와 이곳이 의례공간이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외에도 거칠마 고분 1기와 수혈 집자리군, 당시 사람들이 먹고 버린 조개껍질 패각층도 확인됐다. 해당 유적에 대규모 마을이 형성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가유산청은 "해당 유적은 지금까지 발견된 제사유적 사례 중 최대 규모의 특수 성역공간으로, 중국 역사서 '삼국지' 위서, '동이전' 등에 기록된 마한 별읍인 소도와 유사하다"며 "기원 후 5~6세기 유적 연대를 추정 감안하면 '소도의 발전된 형태'로 여겨진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