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정유·가스업계, "동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사업성 논의 신중"

등록 2024.06.03 14:23:03수정 2024.06.04 08:40: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첫 국정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4.06.0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첫 국정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4.06.03.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다솜 기자 = 동해안 영일만 일대에 막대한 양의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공식적으로 제기됐다. 이에 대해 업계는 아직 본격적인 시추 탐사가 진행되진 않은 만큼 사업성은 신중히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3일 윤석열 대통령은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탐사 결과가 나왔다"고 발표했다.

예상 매장 자원은 가스(75%), 석유(25%)로 추정되며 가스는 3.2억~12.9억t, 석유는 7.8억~42.2억 배럴 규모다. 천연가스는 최대 29년, 석유는 최대 4년을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산업통상자원부의 탐사 시추 계획을 승인하고 "금년 말 첫 번째 시추공 작업에 들어가면 내년 상반기까지 어느 정도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올 연말부터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에 대한 본격적인 탐사 시추가 진행될 예정이다. 향후 시추를 통해 본격적인 부존 여부와 부존량을 최종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이 같은 소식에 업계에서도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날 석유·가스주 등 관련 주가가 급등하기도 했다.

그러나 석유·가스 업계는 아직 시추 작업이 성공한 것이 아닌 만큼, 구체적인 사업 연계 가능성은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아직 실제로 시추가 성공할 지는 장담할 수 없고, 앞으로 상황이 어떻게 될 지도 좀 더 두고봐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포항 영일만 일대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과 관련해 시추 성공률을 20%로 점치며 "최소 5번은 뚫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1공당 시추 작업이 3개월 가량 소요되는 점을 고려하면 최소 1년 이상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부는 시도 횟수를 구체적으로 정해놓지 않았지만, 2026년까지는 지속적으로 시추하겠다는 계획이다.

실제 과거 한국석유공사는 동해 천해에서 총 11공 탐사정 시추 끝에 국내 최초로 상업적 가스를 발견한 바 있다. 당시 성공률은 23%였다.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매장 가능성이 곧 사업성과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며 "사업성 논의는 유의미한 자원 매장 결과가 나온 후에 하는 것이 맞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