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집단제적' 초유사태…"의협 뭐하나" 커지는 비판
일부 복학기류 커지고 있지만 등록률 낮아
의협 대응책 도출 못해…"의대생 판단 존중"
![[서울=뉴시스]대한의사협회 전경. (사진= 뉴시스DB) 2024.03.08.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4/03/08/NISI20240308_0001496929_web.jpg?rnd=20240308140118)
[서울=뉴시스]대한의사협회 전경. (사진= 뉴시스DB) 2024.03.08. photo@newsis.com.
27일 의료계에 따르면 이날 서울대·부산대 의대 등이 등록을 마감하고, 경희대·가톨릭대·인하대 등 대부분의 의대가 이달 말 등록을 마감할 예정이다. 21일 등록을 마감한 연세대·고려대 의대는 복귀 의사를 밝히지 않은 의대생 절반 가량을 28일 제적 처리할 방침이다.
일부 대학에선 의대생들의 복학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고려대 의대 소속 전 학생 대표들이 지난 25일 의대생 중 복학생의 의사를 존중해야 한다는 의견을 공개적으로 처음으로 밝힌 후 고려대에선 제적 대상 학생들의 복학 상담 신청이 이어지고 있다. 연세대 의대생들은 '선 등록, 후 휴학'으로 투쟁 방향을 선회했다.
그러나 일부 투쟁 의지를 꺾지 않고 있거나, 복귀할 경우 낙인이 두려워 등록을 망설이는 경우 등 다양한 이유로 복귀하지 않고 있는 사례들이 많아 휴학 중인 모든 의대생들이 돌아올진 미지수다. 각 의대는 복귀 시한까지 등록금을 납부하지 않거나 복학원을 제출하지 않는 의대생을 학칙대로 처분하겠다는 입장이여서 무더기 제적 사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의대생 제적 사태가 코 앞에 닥쳤지만 의협은 사태 해결 방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의대생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구체적인 방안을 언급하지 않고 있다.
의협은 전날 상임이사회를 열고 제적 시한 연기 요청 등을 검토하긴 했지만 대응책을 도출하진 못했다. 의협 관계자는 "의협 집행부 내에서 의대생 제적 처리까지 시간을 좀 더 달라고 요청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된 정도"라고 말했다. 의협은 의대 증원에 반대해 학교를 떠난 의대생 각자의 판단을 존중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미복귀 의대생 집단 제적 우려가 현실화하면서 의료계 내부에선 의협 집행부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동욱 경기도의사회장은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지방의 한 의대생이 언론 인터뷰를 통해 밝힌 저의 발언의 진의를 알고 싶다며 전화가 왔다"며 "의협이 사지에 몰린 너희들을 방치하면 안 된다는 뜻이라고 답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저희들은 의협에 아무런 기대를 하지 않는다'는 놀라운 대답이 돌아왔다"면서 "짧고 담담한 의대생의 대답에 둔기로 맞은 느낌이었고, 참으로 부끄러운 의협"이라고 비판했다.
이 회장은 또 "제적 위기에 처한 의대생들에 대해 의대생들의 문제라며 선을 그으며 탕핑하고 있는 집행부에 각성을 촉구한다"면서 "의협의 의대생 압박 위기에 대한 대응 계획이 있다면 지금이라도 회원들 앞에 밝혀주시기 바라고, 지난 석 달 동안 상황이 더욱 악화 돼 의대생들이 사지에 몰린 경위를 설명해 주시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앞서 이 회장은 지난 24일에도 "의협은 의대생들의 일일 뿐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면서 "아무도 위기에 처한 의대생을 도와줄 계획이 없다면 앞길이 창창한 의대생들은 '그만하고 돌아가라'고 하는 게 어른의 도리"라고 밝혔다. 의대생들은 전공의와 달리 의사 면허가 없어 이대로 복귀하지 않아 제적이 확정되면 최악의 경우 의업을 포기해야 할 위기에 놓일 수도 있다.
의대생 집단 제적이 현실화하면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의정 갈등이 더 깊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는 의대 학장·총장들의 의견을 수용해 '이달 말까지 의대생 전원 복귀'를 전제로 내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면서 "미복귀 시 내년도 정원은 지난해 정부가 배정한 5058명"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의대 증원 백지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철회 등을 주장하고 있다.
마상혁 창원파티마병원 소아청소년과 과장은 "가고자 하는 길은 같은데 소통하지 못하다 보니 오해가 많이 쌓이게 됐고 소통의 창구가 돼야 할 의협이 그 역할을 못했던 측면도 있다"면서 "이젠 선배들이 나서서 갈등을 풀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의협은 오는 28일 오전 10시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 지하 1층 대강당에서 정례 브리핑을 통해 미복귀 의대생 집단 제적과 관련된 입장 등을 밝힐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positive100@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