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나마 안전지대"…방산·조선·소프트웨어株[관세전쟁 피난처③]
방산·조선업종, 미국향 수출 물량 없어
인터넷, 플랫폼 규제 완화 가능성 주목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2445.06)보다 12.34포인트(0.50%) 하락한 2432.72에 장을 마감한 11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681.79)보다 13.80포인트(2.02%) 오른 695.59,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456.4원)보다 6.5원 내린 1449.9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2025.04.11. bjk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4/11/NISI20250411_0020768866_web.jpg?rnd=20250411155115)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2445.06)보다 12.34포인트(0.50%) 하락한 2432.72에 장을 마감한 11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681.79)보다 13.80포인트(2.02%) 오른 695.59,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456.4원)보다 6.5원 내린 1449.9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2025.04.11. bjko@newsis.com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증권가가 제시한 관세전쟁 피난처로는 가장 먼저 방산 업종이 꼽힌다. 방산의 경우 한국이 미국으로 수출하는 물량이 없어 관세 부과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이다.
이동헌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방산업체의 미국 수출은 한국항공우주의 보잉향 기체부품 수출 정도이며 교환무역, 보잉의 직접적 수요를 감안하면 영향은 제한적"이라면서 "미국이 전 세계 무역장벽을 높이며 불안이 고조되고 있고, 국가별로는 군비 증강 기조가 유지될 전망이다. 일부 지역에서 미국 무기와의 판매 경쟁이 예상되나 제품 라인업, 납기 차이로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한영수 삼성증권 연구원도 "미국발 관세 영향에 가장 둔감한 업종은 방위 산업"이라면서 "일단 한국 방위산업은 미국으로의 직접적인 매출이 극히 미미한 상태로 방위산업체들의 직접 고객은 국내와 해외의 정부이며, 이들의 무기 구매는 경기에 대한 전망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조선 업종 또한 관세 영향에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 연구원은 "전 세계 수주잔고에서 미국 선주의 비중은 8%에 불과하다"며 "미래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선주들이 선박이라는 자산에 대한 구매시점을 미룰 가능성은 존재한다. 즉, 신규수주가 일시적으로 감소할 가능성은 있지만 일시적인 수주 공백 정도라면, 이미 평균 3년치 일감을 확보한 한국 대형사에게는 치명적인 문제라고는 보기 어려운 문제"라고 분석했다.
신한투자증권의 이 연구원도 "국내 조선사의 직접적인 미국 수출은 5% 이하이며 조선업이 없는 미국은 한국을 협력 파트너로 인식하고 있다"면서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 선박 규제를 위한 압력을 가중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 조선사의 반사이익으로 이어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인터넷 업종과 게임 업종 또한 관세전쟁의 무풍지대로 주목받고 있다. 인터넷·게임은 모든 매출이 무형의 서비스와 콘텐츠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관세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다.
김소혜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빌미로 각국 플랫폼에 대한 규제를 협상카드로 내밀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면서 "국내 플랫폼 관련 규제 정책 완화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멀티플이 확장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고 말했다.
반면 관세에 대한 직접적 영향은 없지만 밸류에이션은 다른 문제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준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미국발 상호 관세로 인한 직접적 영향은 네이버, 카카오를 비롯한 소프트웨어 기업 모두 없다"면서도 "다만 최근 글로벌 빅테크의 하락은 밸류에이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상호 관세로 인한 무역 분쟁이 장기화될 경우 간접적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고 봤다. EU(유럽연합)를 중심으로 서비스 상품까지 담론이 확대될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이는 미국 빅테크가 글로벌 패권을 쥐고 막대한 매출을 발생시키는 현 상황을 상호 관세가 반영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면서 "미국은 되려 국가별 플랫폼 규제 완화를 요구하고 있어 우려를 야기하고 있다. 국내 중심인 네이버, 카카오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대외 환경의 불확실성이 해소돼야 인터넷 산업 전반의 반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mrkt@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