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부산 역외이전 기업, 건설업·제조업 최다…10개 중 4개는 경남 이전

등록 2021.10.28 10:48:0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부산 전출입 기업 대부분 업력 5년 내외, 매출액 10억 미만 소기업.

2020년 부산 전출기업 927개사, 전입기업 749개사로 전출이 178개사 많아

[부산=뉴시스] 부산상공회의소 전경. (사진= 부산상의 제공)

[부산=뉴시스] 부산상공회의소 전경. (사진= 부산상의 제공)


[부산=뉴시스] 제갈수만 기자 = 부산지역 기업의 역외 이전과 타 지역 기업의 역내 전입에 대해 앞으로는 단순한 기업의 숫자보다는 전출입한 기업의 규모와 지역경제, 산업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등 정성적인 부분에 더 집중해야 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 장인화)는 28일 법원의 상법법인의 본점 이전등기 신청현황 자료와 한국기업데이터㈜의 2020년 부산지역 전출입 기업 1676개사 정보를 분석한 ‘부산지역 기업 전출입 실태 분석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역외로 전출한 기업은 927개사였다.

 또 부산으로 전입한 기업은 749개사로 전출기업이 전입기업보다 178개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규모별로 보면, 전출 기업 중에는 한국캘러웨이골프(865억원), 세경토건(638억원), 명성인더스(211억원), 동화일렉트로라이트(169억원) 등이 부산을 떠났다.

반면 전입기업 중에는 아파트 건설업체인 범양건영(1491억원)을 필두로 LPG 도소매기업인 부경에너지(833억원), 물류기업인 국보(532억원), 제조기업인 이노폴(468억원) 등 비교적 매출규모가 큰 기업들의 신규 유입이 눈에 띈다.

전출입 지역별로는 부산에서 타 지역으로 이전한 기업의 약 70%가 경남(43.7%)과 경기(12.5%), 서울(12.3%)로 옮겨 갔고, 특히 이중에는 경남으로 이전한 기업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부산으로 전입한 기업 역시도 경남에서의 이전이 전체의 40.7%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16.7%), 경기(12.1%)의 순으로 확인됐다. 매출액 10억 이상 전입기업이 가장 많이 입주한 곳은 강서구와 해운대구, 기장군 순으로 나타났다.

전출입 업종별로는 건설업과 제조업, 도소매업의 비중이 과반수 이상이었다. 실제 927개 전출기업 중 건설업과 제조업이 각각 23.8%, 20.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도소매업 18.1%, 서비스업 15.4%, 부동산업 11.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입기업 749개사 중에는 제조업 비중이 20.7%로 가장 높았고 그 외 도소매업이 19.3%, 건설업이 18.0%, 서비스업 15.4%, 부동산 13.8% 등으로 나타났다.

[부산=뉴시스] (자료=부산상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뉴시스] (자료=부산상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전출입 기업의 매출 규모는 대다수가 연매출 10억원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제 부산을 빠져나간 기업의 85.3%가, 부산으로 이전한 기업의 86.1%가 매출액 10억원 미만 기업이었다.

 반면, 전출기업 중 매출액 100억원 이상 기업은 전체의 1.6%에 불과했고, 전입기업도 매출 100억원 이상은 2.4% 지나지 않았다. 연매출 10억원 이상으로 특정할 경우 기업수는 전입업체(104개사)가 전출업체(136개사)에 비해 작지만, 매출액 규모로는 오히려 전입업체(8401억원)가 전출업체(7174억원)를 크게 뛰어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지역기업의 역외 이전과 역외 기업의 부산 전입을 단순히 개체 수 중심의 정량적 평가보다는 매출규모, 고용인원 등 이들 기업들의 전출입이 지역 경제와 산업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는 전략적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부산상의 경제동향분석센터는 “기업의 전출입과 관련해 과거에는 주로 역외 유출기업의 수에 매몰된 경향이 없지 않았던 게 사실이다”며 “지금은 역내로 전입해온 기업이 주는 경제적 영향력과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특히 제2센텀 첨단산업단지 조성과 같은 인프라 확충과 더불어 혁신기업 유치 인센티브 확충 등 미래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적 선택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