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기자수첩]'물가 정점론'보다 국민 체감 대책이 먼저다

등록 2022.10.17 18:04:3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기자수첩]'물가 정점론'보다 국민 체감 대책이 먼저다



[세종=뉴시스] 박영주 기자 = "10월 '물가 정점론'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지난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시절 이후 최대치로 치솟자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내놓은 전망이다. 10월을 정점으로 상승세가 꺾이고 서서히 안정세를 찾을 거라는 설명이다.

추 부총리는 꺾일 줄 모르는 물가 상승세에 서민 경제가 불안에 떨 때마다 같은 말을 되풀이했다. 지난 6일 국정감사에서도, 14일 미국 워싱턴 출장길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수치만 놓고 보면 추 부총리의 발언에 힘이 실린다. 약 24년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던 물가는 7월(6.3%)을 정점으로 8월(5.7%)과 9월(5.6%) 연속해서 하락했다. 국내 물가를 뒤흔든 주범인 석유류 가격 상승 폭마저 둔화했다.

이제는 한시름 놓은 것일까. 체감은 그렇지 못하다. 점심시간 구내식당마다 길게 늘어선 줄이며 편의점에서 라면으로 끼니를 때우는 풍경은 여전하다.

돌아보면 '10월 정점'이라는 전망조차 "국제유가 흐름과 국내 환율이 높은 수준에 와 있어서 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이라는 말들과 함께 제시됐을 뿐이다. "하락하더라도 굉장히 서서히 내려갈 것", "정점을 지나더라도 상당히 높은 수준의 물가 상황이 지속될 것" 등의 전망이 오히려 단정적이다. 결국 당분간 계속 힘들 것이라는 말이다.

최근에는 10월 정점 전망을 비판적으로 보게 하는 상황들도 여럿 뒤따르고 있다.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소비자물가 선행지표인 수입 물가가 3개월 만에 오름세로 다시 돌아섰다. 원유 생산국의 생산량 감축 합의로 국제유가도 다시 꿈틀대고 있다. 전기요금과 가스요금 인상도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일 뿐이다.

국내외 악재들이 겹겹이 쌓이면서 경제기관들은 올해 물가가 5%를 넘어 1998년 IMF 외환위기 이후 최대 상승 폭을 기록할 거라고 예고하기도 했다.

정부의 예상대로 10월을 정점으로 물가가 잡힌다 해도 서민들의 고통은 끝이 보이지 않는다. 들썩이는 물가를 잡겠다며 기회마다 올린 금리는 서민들에게 폭탄으로 돌아오고 있다. "국내 경제 상황이 외환위기 수준의 위기는 아니다"라는 정부 진단이 공허하게 느껴지는 이유다.

한 끼를 때우느라 주머니 사정을 고민하는 이들에게, 그들이 토로하는 못 살겠다는 외침에 이제는 정부가 서둘러 답할 차례다. 막연한 희망의 말이 아닌, 냉철한 분석과 진단을 바탕으로 체감할 수 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할 때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