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부에 "NMC 병상 축소 안돼…다음 감염병 대비해야" 질타
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
"기재부 출신 장관, 복지 마인드 없어"
"의료 급여 환자·취약계층 위한 증대"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있다. 2023.02.09. scchoo@newsis.com
여야는 이날 국회 본관에서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를 열고 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질병관리청으로부터 업무보고를 받았다.
여야는 국립중앙의료원 신축사업으로 구축하려는 병상 수를 당초 1050병상에서 760병상으로 대폭 줄인 데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고영인 민주당 의원은 "결국 기획재정부가, 윤석열 정부가 760병상으로 대폭 축소하는 것으로 거의 결정을 한 상황으로 본다. 옳다고 보나"라며 "1050병상을 요구하는 건 결국 의료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당 남인순 의원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기재부 출신인 점을 꼬집으며 "국립중앙의료원 기능이 주변 같은 진료권에 있는 병원들과 경쟁하는 일이냐. 단순한 진료권 내 병상 수라는 것은 규모로 결정할 문제가 아니다"라며 "외상, 응급, 감염병, 심뇌혈관, 필수중증으료분야는 민간 시장 논리로 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 지적했다.
전혜숙 민주당 의원은 더 나아가 "조 장관이 인사청문회 때 기재부 출신이라 복지 마인드가 없다고 여러 걱정이 있다고 했더니 '단점은 있지만 장점 중 하나가 예산을 많이 따올 수 있다'고 했다"고 저격했다.
서영석 민주당 의원도 "복지부 장관이 할 일은 기재부 논리에 위축되거나 기재부 논리를 대변하면 안 된다는 것"이라며 조 장관이 병상 수 확대 협의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서정숙 국민의힘 의원은 "국립중앙의료원이 2017년에 중앙감염병 전문병원으로 지정됐고, 어려울 때일수록, 심한 질병이 돌 때일수록 취약계층은 더 어려운데 의료 안전망인 국립중앙의료원의 역할이 크다"며 "신종 감염병이 유행할 때, 정말 오갈 데 없는 의료급여환자나 취약계층을 위해 규모가 증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백종헌 국민의힘 의원도 "800병상 규모로 확대한다고 발표해놓고 지난 1월 수도권 과잉병상 등을 이유로 526병상으로 확정지었다"며 "마스크 의무화 해제 등 긴요한 엔데믹을 준비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다음 공중보건위기 상황을 대비할 때"라고 지적했다.
여야의 질타가 이어지자 조 장관은 "정부가 병상 공급 현황과 이용률 등을 고려해서 정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기본 설계 후 총사업비를 협의하는 단계가 있다"며 "그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재정 당국과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jungsw@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