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 산소부족 물덩어리, 북신·한산만으로 확대
한산만, 지난해보다 약 52일 빨리 관측
수과원 "수온 상승하면 발생범위 확대"
![[서울=뉴시스] 국립수산과학원 전경.](http://image.newsis.com/2022/05/03/NISI20220503_0000988649_web.jpg?rnd=20220503100716)
[서울=뉴시스] 국립수산과학원 전경.
[부산=뉴시스]권태완 기자 = 지난해 마산과 진해만 일대에서 정어리 떼를 죽음으로 몰고 간 '산소부족 물덩어리'(빈산소수괴)가 지난달 24일 남해안에서 처음 관측된 이후 북신만과 한산만으로 발생 범위가 확대됐다.
국립수산과학원(수과원)은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2일까지 현장 조사를 한 결과, 통영 북신만과 한산만 해역 저층에서 용존산소 농도 2.10~2.23 ㎎/ℓ, 2.57 ㎎/ℓ인 산소부족 물덩어리가 관측됐다고 2일 밝혔다.
산소부족 물덩어리는 바닷물에 녹아있는 산소 농도가 3㎎/ℓ 이하인 물덩어리로 어·패류의 호흡 활동을 방해해 양식생물의 피해를 유발한다.
북신만에서의 산소부족 물덩어리 발생은 지난해와 시기가 비슷하고, 한산만은 약 52일 빨리 관측됐다.
수과원은 앞으로 수온이 상승하면서 산소부족 물덩어리의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고, 발생 범위도 주변 해역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발생 인근 해역의 패류와 멍게 양식장의 피해가 우려되며, 수하식 패류 양식장에서는 수하연의 길이를 줄여 용존산소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층에 두는 것이 좋다.
◎공감언론 뉴시스 kwon97@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