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만에 잡힌 산불 주불…인명피해 75명 '역대 최대'(종합2보)
고기동 행안부 장관 직무대행, 중대본 회의 주재
인명피해 75명…사망 30명, 중상 9명·경상 36명
산림 4만8239㏊ 영향…여의도 면적 166배 달해
"이재민 상실감 이루 말 못해"…550억 성금 모금
![[서울=뉴시스] 조수정 기자 =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인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이 30일 오전 산불 피해를 입은 경북 안동시 남후농공단지를 찾아 피해상황 등을 살피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제공) 2025.03.3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3/30/NISI20250330_0020753062_web.jpg?rnd=20250330155533)
[서울=뉴시스] 조수정 기자 =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인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이 30일 오전 산불 피해를 입은 경북 안동시 남후농공단지를 찾아 피해상황 등을 살피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제공) 2025.03.3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박영주 기자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인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30일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 주불이 모두 진화됐다"고 밝혔다.
고기동 직무대행은 이날 경북도청에서 울산·경북·경남 산불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9차 회의를 주재하고 "이번 산불은 인명과 재산 피해 모두에 있어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지난 21일 시작된 산청 산불의 주불이 이날 오후 1시 진화되면서 정부가 관리해 온 11개 산불 진화가 모두 완료됐다. 산불 영향 구역은 총 4만8239㏊이다. 이는 여의도 면적(290㏊) 166배에 달하는 규모다.
정부는 건조한 대기 상황과 바람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잔불 처리와 뒷불 감시는 진화대원과 헬기를 동원해 이어갈 방침이다. 헬기를 50대, 진화대·공무원·군·경찰·소방 등 인력 1473명, 진화 장비 213대를 투입했다.
이날 오후 5시 기준 인명피해는 총 75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사망자는 30명, 중상 9명, 경상 36명이다. 오후 4시 기준 불에 탄 시설은 6322개소로 집계됐다. 경북 6206곳, 경남 84곳, 울산 30곳, 무주 2곳이다. 시설별로는 주택 3511곳, 농업시설 2120곳, 사찰 13곳, 문화재 18곳, 기타 660곳 등이다.
국가유산 피해는 국가가 지정한 11건, 시·도가 지정한 19건 등 총 30건으로 조사됐다. 이날 오후 6시까지 아직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는 이재민은 3254세대 5581명이다.
![[산청=뉴시스] 차용현 기자 = 경남 산청 산불 발생 10일째로 접어든 30일 오전 산불진화헬기가 시천면 구곡산 일원에서 진화작업을 펼치고 있다. 2025.03.30. con@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3/30/NISI20250330_0020752700_web.jpg?rnd=20250330113133)
[산청=뉴시스] 차용현 기자 = 경남 산청 산불 발생 10일째로 접어든 30일 오전 산불진화헬기가 시천면 구곡산 일원에서 진화작업을 펼치고 있다. 2025.03.30. con@newsis.com
고 직무대행은 "산불 피해 현장은 생각보다 훨씬 참담하며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의 상실감과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현재 가장 시급한 과제는 이재민들이 안정을 찾고 조속히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공공기관 연수원과 민간 숙박시설을 임시 숙박시설로 활용하고 생업에 가까운 지역 내 임시 조립주택을 설치하는 등 실질적이고 안정적인 주거 시설을 지원하겠다"며 "피해가 확인된 이재민들께는 긴급생활안정지원금을 신속히 지원하고 심리지원과 의료지원도 지속적으로 시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경북·경남 중앙합동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이재민 구호 활동을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다. 의료, 세금, 통신 등 기관별 지원 사항이 포함된 '산불 종합 안내서'를 마련하고 7곳의 현장지원반을 통해 주민 민원을 해결하고 있다.
또 이재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임시 조립주택 입주 희망 수요 조사를 하고 이주단지 조성 등 장기적인 해결책도 마련한다. 의료급여 지급, 건강보험 경감, 통신비 감면 등과 함께 농기계 및 종자·육묘 지원을 통해 피해 농업인의 영농 재개도 지원한다.
전날까지 1만여명이 자원봉사자들이 피해 수습에 참여했으며 전국재해구호협회 등을 통해 약 550억원의 성금도 모금됐다.
고 직무대행은 "'범정부 합동 복구대책지원본부'를 운영해 응급 복구와 피해조사, 체계적인 복구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정부가 피해 복구에 행정력을 총동원할 수 있도록 각 기관에서는 인력 파견 등 행정응원 요청에 대해 최우선으로 검토해 적극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이번과 같은 산불은 언제든 다시 발생할 수 있어 예방과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위험지역은 수시로 현장을 점검하고 진화 인력과 장비는 선제적으로 배치해 초기 대응을 철저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드론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해 감시를 촘촘히 하고 지역 주민들과 함께 자율 순찰도 강화하고 있다"며 "빠르게 확산하는 산불 경향을 반영해 주민 사전 대피 계획을 세밀하게 수립하겠다"고 부연했다.
정부는 31일 산불 중대본 10차 회의를 개최하고 '범정부 복구 대책 지원본부'와 '중앙 합동 피해조사단'을 구성·운영할 방침이다.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이 30일 오후 경북도청에서 열린 울산-경북-경남지역 산불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제공) 2025.03.3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3/30/NISI20250330_0020753104_web.jpg?rnd=20250330163337)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이 30일 오후 경북도청에서 열린 울산-경북-경남지역 산불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제공) 2025.03.3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gogogirl@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