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17년 된 업무시스템 전면 개편…금감원 등 연계 강화
차세대 정보시스템 구축사업 입찰 공고

금융위원회가 '차세대 금융위 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통해 17년째 운영 중인 내부 업무 시스템을 전면 개편한다. 금융위는 연락시스템 구축을 구축, 금감원·은행연합회·예금보험공사·금융투자협회 등과의 자료 교환, 업무 연락의 편의성을 높일 방침이다. (사진=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나라장터')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주연 기자 = 금융위원회가 17년째 운영 중인 내부 업무 시스템을 전면 개편, 효율성을 높인다.
최신 기술을 도입해 업무포털, 업무연락, 회의체 운영관리 시스템 등을 새로 구축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금융행정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다. 특히 금감원·은행연합회·예금보험공사·금융투자협회 등 유관기관과 더욱 편리한 자료 교환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13일 금융위와 조달청 등에 따르면 금융위는 이달 초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나라장터'에 '차세대 금융위 정보시스템 구축사업(1차)' 입찰 공고를 올렸다. 1차 사업에 배정된 예산은 10억8000만원 상당, 납품기한은 계약 후 7개월이다.
금융위는 2008년 기관 설립 내부 업무포털을 구축해 17년간 큰 변화 없이 사용해왔다. 최신 브라우저 호환과 액티브X 제거가 불가능해 기술지원이 종료된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으며 웹 표준 준수도 미흡했다.
금융위는 금감원과 은행연합회, 예보 등 유관기관과의 업무연락이 빈번하고, 민간 회의체와의 정기적 의견수렴 등 외부 업무연락이 빈번하지만 직원들은 메신저, 망간자료전송, 공직자 통합 메일에 의존해야 했다.
또 담당자 개인 PC에 업무관련 문서가 보관돼 회의자료 일관성 확보가 어렵고, 이력관리와 효율적 검색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개편은 ▲업무포털(e-FSC) ▲업무연락시스템 ▲회의체 운영관리 시스템에 대한 구축과 고도화 등 3개 축으로 진행된다.
업무포털은 사용자 중심으로 개선되며, 디지털정부 디자인 시스템 (KRDS) 가이드라인을 반영해 설계된다.
기존 행정전자서명(GPKI) 외에도 모바일공무원증 등 다양한 인증 방식이 도입될 예정이다. 통합검색 기능 강화, 게시판 기능 개편, 사용자 권한 관리 체계 전산화도 진행된다.
새로 도입되는 업무연락 시스템은 내부 부서 및 외부 기관과의 자료 공유, 일정 관리 등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올해 하반기 별도 구축되는 협업도구의 API(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활용해 알림, 계정, 데이터 등의 동기화가 가능하도록 개발된다.
회의체를 손쉽게 운영·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도 구축된다.
금융위는 현재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와 증권선물위원회, 안건소위를 안건관리시스템을 통해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그 외 위원회는 소관부서에서 수작업으로 운영해왔다. 이로 인해 자료의 일관성 확보, 이력관리 등에 한계가 있었으며, 업무 효율성도 낮았다.
시스템 개선이 마무리되면 다양한 회의체의 일정, 안건과 자료, 참석자 정보를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금융위는 올해 말까지 시스템 개편 작업을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업무에 적용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노후화된 정보시스템 교체와 고도화를 통해 업무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정보보안 체계를 강화할 것"이라며 "다양한 최신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디지털플랫폼 정부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jy@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