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호처, 연판장 갈등 …김 차장은 침묵
김 차장 '고발' 언급에도 경호처 직원들 연판장
주말에도 거취 표명 없어 '사퇴론 선 긋기' 전망도
![[의왕=뉴시스] 홍효식 기자 = 석방된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오후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에서 지지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윤 대통령 오른쪽은 김성훈 경호처 차장. 2025.03.08. yes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3/08/NISI20250308_0020724892_web.jpg?rnd=20250308183328)
[의왕=뉴시스] 홍효식 기자 = 석방된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오후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에서 지지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윤 대통령 오른쪽은 김성훈 경호처 차장. 2025.03.08. yesphoto@newsis.com
뉴시스 취재를 종합하면 경호처장 직무대행을 맡고 있는 김성훈 경호처 차장은 직원들이 '차장 등 권한행사 중지' 연판장에 동참한 이후에도 거취 표명을 않고 있다.
앞서 경호처 직원들은 윤 전 대통령의 관저 퇴거일이 확정 공지된 시점 전후로 김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의 사퇴를 요구하는 연판장을 돌렸고, 이 연판장에는 약 700명의 직원 중 500여명이 동참했다.
경호처 내 갈등은 지난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혐의를 수사 중이던 경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를 시도하자 김 차장 등 수뇌부가 이를 저지하고 나서면서 수면 위로 올랐다.
연판장은 "김성훈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은 대통령의 신임을 등에 업고 경호처를 사조직화했으며, 직권남용 등 갖은 불법행위를 자행해 조직을 위태롭게 했다. 또한 정치적 중립을 훼손하고 조직의 명예를 실추시켰다"고 지적했다.
특히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이 특수공무집행방해와 증거인멸 교사로 수사대상이 됐다고 지적하면서 "수사기관의 피의자로, 권한을 행사하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조직과 후배들을 위해 직책에서 물러나 권한행사를 중지해 달라"고 요청했다.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김성훈 경호처 차장이 11일 오후 서울 서초구 윤석열 전 대통령 사저에서 경호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4.11.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4/11/NISI20250411_0020769143_web.jpg?rnd=20250411185644)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김성훈 경호처 차장이 11일 오후 서울 서초구 윤석열 전 대통령 사저에서 경호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4.11. photo@newsis.com
경호처 내 일각에서는 김 차장이 윤 전 대통령 퇴거 이후 거취 관련 입장 표명을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으나, 김 차장은 이날까지 거취 관련한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사퇴할 뜻이 없다는 기존의 입장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편 경호처는 윤 전 대통령 경호에 약 40~60명 규모의 전담팀을 꾸렸다. 윤 전 대통령은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으로 파면돼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예우가 대부분 박탈됐으나, 경호·경비는 임기를 마친 전직 대통령과 동일하게 제공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jikime@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