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심정지 후 혼수상태 환자 회복예측…혈액속 '이것' 규명

등록 2023.06.05 11:24:09수정 2023.06.05 11:36:0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새 바이오마커 혈액 속 'NFL단백질' 규명

"보호자 심정지가족 진료방향 판단 도움"

[서울=뉴시스] 서울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윤준성·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송환 교수. (사진= 서울성모병원 제공) 2023.06.05.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서울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윤준성·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송환 교수. (사진= 서울성모병원 제공) 2023.06.0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의료진이 심정지 후 혼수상태에 빠진 환자가 다시 의식을 회복할 수 있을지 진단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런 가운데 새로운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인 환자의 혈액 속 미세신경섬유경쇄(NFL) 단백질로 회복 경과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윤준성·성빈센트병원 응급의학과 송환 교수팀은 병원 밖 심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혈청 표지자의 임상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향적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8년 8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서울성모병원, 충남대병원 응급실에서 병원 밖 심정지 후 목표체온조절 치료를 받은 1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당시, 24시간 후, 48시간 후, 72시간 후 각각 혈액을 수집했다.

또 새로운 바이오마커로 NFL 단백질, 타우(Tau)단백질, 신경교섬유질산성 단백질(GFAP), UCH-L1 효소를 측정했다. 이후 전통 바이오마커인 혈청표지자 NSE, S-100B와 비교했다.

연구팀은 새로운 바이오마커들로 병원 밖 심정지 후 목표체온조절 치료를 받은 환자의 신경학적 예후(경과)를 예측할 수 있었다. 특히 심정지 후 72시간째 예후 예측력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새로운 혈청 바이오마커의 신경학적 예후 예측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곡선 아래 면적'은 심정지 후 72시간에 가장 높았다. 심정지 후 72시간의 NFL은 100% 특이성을 유지하면서 나쁜 신경학적 결과를 예측하는 데 가장 높은 민감도(77.1%)를 가졌다.

윤 교수는 "심정지 후 의식이 없는 환자의 신경학적 예후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임상적으로 반드시 필요한데 전통적인 바이오마커는 객관적 측정법이지만 단독으로는 신경학적 예후를 진단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새로운 바이오마커들이 임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어 "나쁜 신경학적 예후와 좋은 신경학적 예후를 예측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고 증명된 만큼 향후 임상현장에서 적용된다면 의료진들이 정상 회복될 환자를 빠르게 선별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며 "신속하고 적극적인 치료로 이어져 더 많은 혼수상태의 환자가 의식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송 교수는 "심정지 환자의 예후 예측은 갑작스런 사고로 불안에 빠져있을 보호자들이 진료 방향에 대해 판단을 내리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기대했다.

최근 심폐소생술의 활성화와 심정지 후 신경과 뇌 손상을 최소화하는 '목표체온조절(저체온치료)' 치료가 확대되면서 심장 기능이 정지된 환자의 생존율도 높아지고 있다. 목표체온조절 치료는 심정지 환자의 심부(내부 장기나 근육) 체온을 낮춰 신경과 뇌 손상을 최소화 해 생존율을 높이고 신경학적 예후를 향상시킨다. 미국심장협회에서 2015년 가이드라인을 통해 목표체온을 32~36도로 설정해 치료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중환자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크리니컬 케어(Critical Care)' 3월호에 실렸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