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빈집에 생기 넣어 지역 경관·경제 살린다"
정부·지자체, 다양한 정책과 보조금 지원
공공 임대주택·복합 커뮤니티 재탄생…
日 관광객 숙소 개조…英 노숙자 쉼터로
![농촌 빈집 정비 사업 철거 전후 모습. 사진 이천시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1/17/NISI20250117_0001752300_web.jpg?rnd=20250117084359)
농촌 빈집 정비 사업 철거 전후 모습. 사진 이천시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김종민 기자 = "오랜만에 시골 고향 왔더니, 빈집이 절반이네…"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심화하면서 농어촌 지역의 빈집 문제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방치된 빈집은 안전사고와 범죄 위험을 높이고 지역 경관을 해치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는 다양한 정책과 보조금 제도를 운영하며 빈집 활용을 촉진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 빈집 정비 사업’을 통해 낡은 빈집을 철거하거나 정비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지자체별로 지원 규모는 차이가 있지만, 최대 300만원에서 2000만원까지 보조금을 지급한다. 특히 철거 이후 공공시설로 활용되는 경우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빈집 활용 방안으로는 귀농·귀촌 희망자에게 저렴한 임대료로 제공하거나, 문화·체험 공간으로 리모델링하는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빈집을 매입한 뒤 공공 임대주택으로 전환하거나 지역 주민들을 위한 복합 커뮤니티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사례도 있다.
정부는 또 농촌 빈집은행 플랫폼을 운영하며, 빈집 매물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귀농·귀촌 예정자들은 저렴한 빈집을 쉽게 찾을 수 있고, 리모델링 지원금 신청 절차도 간소화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빈집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을 통해 지역 맞춤형 활용 사례를 발굴하며, 빈집 문제 해결에 창의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해외 사례에서도 빈집 활용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일본은 지방 소도시의 빈집을 외국인 관광객용 숙소로 개조하거나, 커뮤니티 중심의 생활공간으로 활용해 성공을 거둔 사례가 많다. 영국은 노숙자를 위한 주택으로 빈집을 제공하며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했다.
정부 관계자는 "정책과 지원은 단순히 빈집을 정비하는 데 그치지 않고, 농어촌 지역의 인구 유입과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서 "설 명절 고향 방문을 계기로 빈집 활용 가능성을 고민하고, 관련 정책을 적극 활용해보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mkim@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