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자유구역 도전 고양시①]"3중 규제 뚫을 돌파구 절실"
108만 규모 성장 반면 불균형 도시 전락
각종 중첩규제 자족시설 유치 제한 걸림돌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새로운 성장동력"
![[고양=뉴시스] 고양시청사.(사진=뉴시스 DB).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4/05/22/NISI20240522_0001556751_web.jpg?rnd=20240522163014)
[고양=뉴시스] 고양시청사.(사진=뉴시스 DB).photo@newsis.com
경기 고양시가 핵심사업으로 추진 중인 경제자유구역 지정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경제자유구역은 외국인 투자기업의 경영환경과 생활여건을 개선하고 각종 규제완화를 통해 기업의 경제활동 자율성, 투자유인을 최대한 보장하는데 목적이 있다. 고양시는 수도권 정비계획법 과밀억제권으로 지정돼 산업시설, 기업 등 자족시설 유치에 제한을 받아왔다. 개발제한구역, 군사시설보호구역, 농업진흥구역 등 각종 규제는 기업이 들어서는 걸림돌이 됐다.
특히 인구는 108만명 규모로 성장했지만 일자리 부족 등 불균형 도시 상황은 풀어야 할 절실한 과제다. 취임 당시 경제자유구역 유치를 선언한 이동환 고양시장은 성장이 정체된 고양시의 경제여건을 경제자유구역을 통해 변화시키겠다며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뉴시스는 경제자유구역을 향한 고양시의 계획과 전망을 3편에 걸쳐 살펴본다.[편집자 주]
[고양=뉴시스] 송주현 기자 = 경기 고양시는 이동환 시장의 취임 1호 결제안건인 경제자유구역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시작으로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사활을 걸었다.
18일 고양시에 따르면 경제자유구역은 지난 2003년 인천경제자유구역에 이어 부산·진해, 광양만권, 경기, 대구·경북, 동해안권, 광주, 울산 등 총 9개 지역이 운영되고 있다.
경기도에는 평택 포승지구, 현덕지구, 시흥시 배곧지구로 총 3곳이 지정돼 있다.
모두 경기남부에 위치해 있어 경기북부에서는 고양시가 최초의 도전이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세제혜택과 인센티브 지원을 바탕으로 대기업과 글로벌 기업유치가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다.
지역의 경제활동을 나타내는 경제지표인 '지역내총생산'(GRDP)는 경기도에서 7위,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26위에 머무른 고양시가 경제자유구역에 주력하는 배경 중 하나다.
시는 지난 2022년 7월 조직개편으로 경제자유구역추진과를 신설했고 조직과 인력을 강화해 경제자유구역 최종 관문 통과와 기업유치에 주력 중이다.
특히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바이오, 스마트 모빌리티, 컬처, 마이스(MICE),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중점 육성하겠다는 목표다.
시는 국립암센터 등 6개 대형병원이 있어 첨단 의료시설과 고급 의료인력이 풍부하다는 장점과 지역적 특색을 살려 바이오·정밀의료산업을 특화해 발전시켜 나갈 방침이다.
고양시 대화·법곳동 일대에는 87만㎡ 규모로 고양일산테크노밸리를 조성 중이다.
![[고양=뉴시스] 경기 고양시 일산테크노밸리 조감도.(사진=고양시 제공).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2/17/NISI20250217_0001771958_web.jpg?rnd=20250217154511)
[고양=뉴시스] 경기 고양시 일산테크노밸리 조감도.(사진=고양시 제공).photo@newsis.com
정보기술(IT), 바이오기술(BT), 미디어콘텐츠 등 395개 이상 기업·기관·협회가 입주의향을 밝히고 있다.
드론 신기술 개발 등을 위한 고양드론앵커센터는 고양시 화전동에 지상 3층, 지하 1층, 연면적 4524㎡ 규모로 조성돼 운영 중인데 드론기업 등이 입주해 활용할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이다.
국내 최대 1864㎡ 규모 실내 비행체험장이 있어 날씨에 관계없이 드론비행과 실험이 가능하다.
현재 국토부는 대화동 킨텍스 일원 약 1만8000㎡ 부지에 도심항공교통 이착륙장(버티포트)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드론, 도심항공교통(UAM)은 물류, 교통, 안전진단, 영상촬영 등 다양한 응용분야로 발전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차세대 성장산업"이라며 "첨단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소, 스타트업, 고급인력, 투자자본이 모이는 4차산업 성장의 중심지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자족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현실 속에서 3중 규제(과밀억제권, 개발제한구역, 군사시설보호구역)를 뚫고 산업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돌파구가 절실하게 필요하다"며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경기남부에 비해 산업시설이 적은 경기북부 경제발전의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tia@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