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청양발전 수장" vs "물부족 해결"…지천댐 건설 놓고 지역·충남도 '정면충돌'

등록 2025.03.11 15:18:24수정 2025.03.11 18:30: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지천댐 건설 반대 대책위-충남도, 줄다리기 '심화'

[홍성=뉴시스] 유효상 기자 = 충남 청양군 지천댐 건설 반대 대책위원회 회원들이 11잎 도청 브리핑룸에서 결사 반대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2025.03.11 yreporter@newsis.com

[홍성=뉴시스] 유효상 기자 = 충남 청양군 지천댐 건설 반대 대책위원회 회원들이 11잎 도청 브리핑룸에서 결사 반대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2025.03.11  yreporter@newsis.com

[홍성=뉴시스] 유효상 기자 = 환경부가 추진하는 충남 청양군과 부여군 일부 지역의 지천댐 건설 계획을 두고 물부족 해결책이라는 충남도와 지역발전을 저해한다는 대책위원회 간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지천댐 건설 반대 대책위원회(대책위)는 11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결사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이에 대해 도는 이날 언론에 자료를 통해 "만성 물부족이 갈수록 심각한 상황이어서 지천댐 건설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대책위는 기자회견에서 "청양군 발전을 댐속에 수장시키지 마라"며 "도는 지천댐은 물 부족을 겪는 충남 미래 100년을 책임질 필요한 사업이고, 김태흠 지사는 천억원 예산 지원, 주민협의체 구성 등을 말했지만 주요 당사자 중 하나인 청양군과 사전협의도 전혀 거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천억원 지원예산은 근거도 없고, 충남도의회 의결도 거치지 않은 말그대로 백지수표 남발"이라고 반발했다.



또 "충남도의 부족한 물 문제는 지하저류댐 등 소규모 물저장시설을 지역별로 하고 해수 담수화 사업과 도시 계획 그리고 산단 개발에 대한 재조정을 통해서 물 문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논리를 제시했다.

반면 도는 "지천댐 협의체 통해 반대 주민 의견 들을 것”이라며 "잘못된 정보 인한 주민 피해 없도록 주민·전문가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을 계획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천댐을 건설하면 청양, 부여지역 홍수 발생 시 빗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커지며, 댐을 통해 지체시켜, 하류지역 피해를 줄일 수 있다"며 "금강홍수통제소에서 선제적으로 우기를 고려해 저류량을 결정하므로, 치수 안전을 제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도는 또한 "충남은 만성 물 부족 지역으로, 2035년이면 하루 약 18만t의 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청양군은 생활용수로 보령댐으로부터 약 60%, 대청댐으로부터 20%, 마을 상수도 20%를 공급하고 있어 향후 극한 가뭄 시 용수 공급이 어려울 것으로 우려되는 지역"이라고 설득했다.

이와 함께 "지천댐 건설 시 1000억원의 예산이 지원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환경부 건설사업 및 지원사업 이외에 도에서 추가로 지원하는 예산이며, 댐 협의체를 통해 주거, 산업, 농축산, 관광분야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도는 댐 반대 대책위에서 주장하는 협의 문제에 대해 "작년부터 환경부 지역설명회, 공청회 및 도 간담회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의견 수렴을 하고자 했으나, 회의 자체를 거부해 협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라며 "이번에 구성하는 협의체에 참여해 의견을 개진해주실 것"을 당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reporter@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