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시진핑 만난 이재용…삼성전자 中 사업 다시 한번 '눈길'

등록 2025.03.31 10:36:54수정 2025.03.31 11:04:2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시진핑 "중국과 동행·투자" 요청

삼성전자, 시안서 낸드 공장 운영

이재용, 샤오미·비야디 등 방문

방중 성과 질문엔 '묵묵부답'

 [베이징=신화/뉴시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8일(현지 시간)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 간 면담(국제공상계 대표 회견)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을 비롯한 글로벌기업 최고경영자(CEO) 30여 명이 참석했다. 2025.03.28.

[베이징=신화/뉴시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8일(현지 시간)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 간 면담(국제공상계 대표 회견)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을 비롯한 글로벌기업 최고경영자(CEO) 30여 명이 참석했다. 2025.03.28.

[서울=뉴시스]이현주 기자 = 미중 갈등 속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방중이 주목받고 있다.

중국은 삼성전자의 최대 수출국으로 실적 부진에 빠진 삼성전자가 협력 확대를 통해 위기 돌파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다.



31일 재계에 따르면 이 회장은 지난 28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회동을 마치고 귀국했다.

이번 중국 출장은 이 회장이 지난달 부당합병·회계부정 혐의 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이후 첫 공식적인 글로벌 경영 행보여서 더 관심이 모아졌다.

이 회장과 시 주석의 만남은 2015년 중국에서 열린 '아시아판 다보스포럼'인 보아오(博鰲) 포럼 이후 10년 만이다.



시 주석은 이번에 이 회장 뿐 아니라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 등 다수의 글로벌 기업 CEO들과 만났다. 

시 주석은 이번 회동과 관련 "외국계 기업의 중국 투자는 중국 경제 성장과 고용을 촉진하고 기술·관리 진보와 개혁·개방을 촉진했다"며 "외국계 투자 기업은 중국식 현대화, 개혁·개방과 혁신·창조의 중요한 참여자이자 세계와 연결하고 경제 세계화에 융합시키는 중요한 참여자"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과거, 현재, 미래에도 반드시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이상적이고 안전하며 유망한 투자 목적지가 될 것"이라며 "중국과 동행하는 것은 기회와 동행하는 것이고 중국을 믿는 것은 내일을 믿는 것이고 중국에 투자하는 것은 미래에 투자하는 것"이라고 지속적인 투자 확대를 요청했다. 

이번 회동에는 미국 물류업체 페덱스와 독일 자동차기업 메르세데스-벤츠, 프랑스 제약사 사노피, 영국 금융기업 HSBC홀딩스, 사우디 석유회사 아람코, 일본 기업 히타치 대표 등이 참석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회장과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이 초청받았다.

참석자들은 중국 경제 전망을 긍정적으로 내다보면서 "보호주의가 심화되는 배경 속에서 중국은 부단히 개방을 확대해 세계 경제에 안정성을 불어넣고 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주요 기업들은 중국과 투자 협력을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전방위적인 위기를 맞은 삼성전자가 중국에서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8일 오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주최한 글로벌 CEO 면담을 마친 뒤 서울 강서구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귀국하고 있다. 2025.03.28. ks@newsis.com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8일 오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주최한 글로벌 CEO 면담을 마친 뒤 서울 강서구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귀국하고 있다. 2025.03.28. ks@newsis.com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TV, 가전 등 소비재에서는 중국 기업과 경쟁 관계지만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전자부품 등에서는 중국 기업이 주 고객이다.

실제 삼성전자는 지난해 중국 수출액이 약 65억원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 42조원 대비 54% 증가한 수치로, 61조원을 기록한 미국 수출액보다 많은 금액이다.

2년 만에 중국 출장길에 나섰던 이 회장은 중국개발포럼(CDF)에 참석한 데 이어 샤오미와 비야디(BYD) 등 전기차 기업들을 찾으며 광폭 행보를 보였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에서 2012년 이후 30조원 넘게 투자한 낸드플래시 공장을 운영 중이다. 이 회장은 2년 전 이 공장을 직접 방문해 현장 종사자들을 격려하고 중국과의 기술 협력과 시장 확대를 위한 뜻을 밝히기도 했다.

삼성SDI는 톈진에서 스마트 기기·전기차 등에 사용되는 이차 전지를 생산하고 있으며, 삼성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용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모듈 생산 공장을 두고 있다.

삼성전기는 고신, 톈진 등 2곳에서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사업장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회장이 2년 전 직접 톈진 공장을 방문해 생산시설을 점검한 바 있다.

단 이번 방중에 대해 삼성 측에서는 "단독 회동이 아닌 여러 기업인들 중 한 명"이라고 강조하는 분위기다. 재계에서는 최근 미중 갈등 속 트럼프 정부의 관세 압박 등이 커지는 상황에서 미국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고 분석한다.

실제 이 회장은 지난 28일 방중을 마치고 귀국길에서 취재진에게 출장 성과에 대한 질문을 받았지만 아무 말 없이 공항을 빠져나갔다.


◎공감언론 뉴시스 lovelypsyche@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