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대선 출마 공식화…"'어대명'으로는 본선 승리 어려워"(종합)
"개헌 대통령 이름으로 출마 결심…임기 2년 단축도 수용"
우원식 '조기대선·개헌 동시투표 제안'에 "합리적인 제안"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공식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04.07. suncho21@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4/07/NISI20250407_0020762929_web.jpg?rnd=20250407114508)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공식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04.07. suncho21@newsis.com
[서울=뉴시스]조재완 이창환 신재현 기자 =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대선 출마를 공식화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후 진보진영에서 나온 첫 출마 선언이다.
김 전 의원은 "개헌 대통령"을 자임하며 4년 중임제 개헌 의지를 강조했다. '임기 2년 단축'도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으로, 우원식 국회의장이 제안한 '조기 대선·개헌 동시투표'에도 지지 의사를 표했다.
김 전 의원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 당원존에서 대선 출마 기자회견을 열고 "저는 개헌 대통령이라는 이름으로 출마를 결심했다. 제7공화국을 위해 '임기를 2년 단축해야 한다'면 기쁘게 받아들이겠다"며 "대한민국의 대전환, 국가 대개혁을 위해 분권형 4년 중임제 개헌을 해야 한다"고 했다.
김 전 의원은 "김두관 정부는 국가 경제의 수도권, 대기업 중심의 성장을 분권 성장으로 전환해 전국이 함께 잘 사는 나라를 만들겠다"며 "폭망한 외교, 시급히 경제 외교를 복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남북 관계의 복원은 우리의 지정학적 숙명이다. 한반도의 평화를 유지하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중국, 러시아, 일본과의 관계를 조절해야 한다"며 "하루빨리 한반도 평화 교섭의 주도권을 되찾는 데 김두관 정부는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과학 기술 투자 및 교육 개혁의 의지도 피력했다.
그는 "신성장 동력, 과학기술 투자에 국운을 걸겠다. 국가가 막대한 돈을 과학 기술, 기초과학, 연구 개발에 투자해야 한다"며 "전국에 서울대 10개를 만드는 교육 혁신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독일 사례를 참고하여 전면적인 교육 개혁에 관한 사회적 대타협을 이뤄야 한다"고 했다.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공식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04.07. suncho21@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4/07/NISI20250407_0020762925_web.jpg?rnd=20250407114508)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공식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04.07. suncho21@newsis.com
자치 분권의 필요성과 '어대명' 경선 정국에 대한 우려도 표하면서, 범진보 진영 전체가 참여하는 오픈프라이머리(국민통합경선)를 제안했다.
김 전 의원은 "계엄에 반대하고 탄핵에 동의한 모든 세력이 함께하는 완전 개방형 오픈프라이머리를 제안한다"며 "어대명으로는 본선 승리가 어렵다"고 봤다.
그는 "예정된 선거 결과는 민주주의가 아니다"라며 "중도 확장성이 부족하면 윤석열 같은 후보에게도 패배하는 결과가 또 나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 당이 오픈프라이머리 제안을 수용할 가능성이 낮다는 관측에 대해선 "시간이 충분하지 않지만 모자라진 않다"며 "전체 경선 흥행을 떨어뜨리는 구상을 당이 하는 것처럼 보여 아쉽다"고 지적했다.
우 의장이 전날 제안한 '조기 대선·개헌 동시투표'에도 찬성한다는 입장을 표했다. 이 대표가 해당 논의에 사실상 부정적 입장을 표한 데 대해선 "동의하지 않는다"고 했다.
김 전 의원은 '이 대표가 중임제 등 권력구조 개편은 시간이 부족하니 조기 대선 이후에 처리하자고 했는데 어떻게 보냐'는 질문에 "그런 말씀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시간이 부족한 것은 맞지만 우 의장 제안한 권력구조만 원포인트로 (개헌)하고, 구체적인 기본권 강화 등은 보완해서 내년 6월 지방선거에 투표하는 안이 상당히 합리적이고 괜찮다고 본다"고 했다.
그는 자신의 본선 경쟁력에 대해선 "민주당이 연대하고 연합하고 화합할 때 승리하는 것이지 분열하면 절대 승리할 수 없다. 중도 중원에 소구력 있는 후보가 가장 경쟁력 있는 후보"라며 "그런 측면에서 저의 주요 정책이나 행보, 지향하는 가치와 정책이 중도층 소구력이 가장 크다"고 자평했다.
한편 김 전 의원은 지난 2012년 경남지사직을 사퇴하고 제18대 대선 경선에 도전한 바 있다. 아울러 제20·21대 국회에 입성한 그는 지난 19대 대선에도 출마했으나, 경선 도중 사퇴하고 당시 이재명 후보를 공개 지지하기도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wander@newsis.com, leech@newsis.com, again@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