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부산 기업, 대미 수출 비상…10곳 중 7곳 부정적

등록 2025.04.08 10:03:5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부산=뉴시스] 부산상공회의소 전경. (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뉴시스] 부산상공회의소 전경. (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뉴시스]원동화 기자 = 부산지역 기업 10곳 중 7곳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 기조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올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부산상공회의소는 부산지역 수출상위 기업 177개사를 대상으로 한 '트럼프 2기 통상정책에 따른 지역 수출기업 영향 및 대응 실태조사 결과'를 8일 발표했다.



부산은 지난해 145억9000만 달러 수출 실적 중 미국이 18.5%를 차지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중국(12.5%), 일본(8.1%), 베트남(6.9%) 순으로 대미 수출 비중이 큰 상황이다.

조사에 따르면 지역 수출기업의 71.8%가 트럼프 2기 통상정책으로 인해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응답했다. 이 중 '다소 부정적' 57.1%, '매우 부정적' 14.7%였으며, 긍정적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단 3.4%에 그쳤다.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고율의 상호관세 부과 등 전 세계를 대상으로 관세장벽을 높임에 따라 철강, 자동차·부품, 기계 등 지역 주력업종 중심으로 피해가 집중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수출 전망에 대해 비관적 시각이 우세했다. 올해 수출이 전년대비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42.5%로 증가(24.1%)와 비슷한 수준(33.3%)보다 높았다. 국가별로는 대미 수출에서 감소할 것이란 응답이 46.3%로 가장 많았다.

트럼프 2기 통상정책의 위험요인으로는 미국의 관세부과로 인한 글로벌 경기 둔화와 산업별 수출규제를 꼽았다.

트럼프 2기 정책에 대한 대응으로는 응답기업 중 61.0%가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힌 가운데 주된 대응전략으로는 신규시장 개척과 R&D 투자 확대를 꼽았다. 다만 응답기업의 39.0%는 별다른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나 지자체에 바라는 지원책으로는 대미 관세, 무역 규제 등에 관한 정부 대응력 강화(21.8%)와 신시장 진출 지원(21.0%)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심재운 부산상의 경제정책본부장은 "정부 차원의 외교 협상력 강화와 더불어 지역경제에 특화된 맞춤형 기업지원 대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hwon@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