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문체부, 제4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첫해 점검…문체부·대구시 등 '우수'

등록 2025.04.12 11:01:31수정 2025.04.12 11:18:2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총 48개 중앙부처 및 광역지자체 대상 추진 실적 점검·평가 발표

'우수' 평가 13개 기관 18개 추진 과제에 시상…포상금 200만원

문체부 로고

문체부 로고


[서울=뉴시스]김주희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는 대통령 소속 국가도서관위원회가' 제4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24~2028)'의 첫해인 2024년도의 시행계획 추진 실적을 점검한 결과, 대부분 과제가 안정적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우수' 판정은 문체부 등 중앙행정기관 9곳과 대구시 등 광역지방자치단체 7곳 등 총 16곳이 받았다

이번 평가는 중앙행정기관 31개 기관(93개 과제)과 광역지방자치단체 17개 기관(402개 과제) 등 총 48개 기관(495개 과제)을 대상으로 각 기관의 정책 이행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도서관 정책의 실효성과 현장 적용력을 진단하기 위해 이뤄
위원회는 각 기관이 제출한 추진 실적과 자체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위원단 서면 평가, 이의신청 검토, 전체 회의 등 총 3단계로 점검을 진행했다. 종합계획과의 부합도, 시행계획의 이행 충실도, 목표 달성 등 총 3개 항목 10개 평가지표를 기준으로 각 긱관과 기관별 추진 과제를 '우수', '정상추진', '미흡·개선 필요' 단계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 49개의 실행계획 중 추진되지 않은 1개를 제외하고 20개가 '우수', 28개가 '정상 추진' 단계로 나타났다. '미흡·개선 필요'로 평가된 과제는 없어 전반적으로 정책이 안정적으로 이행된 것으로 분석됐다.

기관별로는 중앙행정기관 31개 중 9개 기관이 '우수', 22개 기관이 '정상추진'으로 평가됐다. 광역자치단체 17개 중에서는 7개 시도가 '우수', 10개 시도가 '정상 추진'으로 분류됐다.

특히 문체부와 교육부, 국방부, 질병관리청 등은 정책목표를 종합계획에 맞게 잘 설정하고, 그에 대한 실천력까지 뛰어난 기관으로 나타났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국회도서관, 국립장애인도서관 등은 국립도서관으로서 우수한 정책 실행 역량을 입증했다.



기관별 추진 과제 평가에서는 중앙부처 5개와 광역지자체 8개 등 총 13개 기관의 18개 추진 과제가 '우수'로 선정됐다.

주요 우수 추진 과제로는 ▲'길 위의 인문학 지혜학교'를 중심으로 한 문화·체험프로그램 확대(문체부) ▲국가지식정보 통합플랫폼인 '디지털집현전' 구축 및 운영(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독립출판물 등 미소장 자료의 납본 및 수집 확대(국립중앙도서관) ▲장애인 대상 수어 기반 정보서비스 확대(국립장애인도서관) 등이 있다.

이날 열리는 '도서관의 날' 기념식에서는 '우수'로 평가받은 13개 기관의 18개 추진 과제에 대해 시상한다. 각 기관에는 과제당 포상금 200만원을 수여한다.

위원회는 이번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제4차 종합계획의 실천 전략을 더욱 견고히 하고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과 개선에 반영할 계획이다.

윤의윤 국가도서관위원회 위원장은 "2024년은 제4차 종합계획의 출발점이자, 도서관 정책의 전환을 체감할 수 있는 의미 있는 한 해였다. 다양한 기관들이 현장에서 성실히 과제를 수행한 덕분에 도서관이 사회적 포용과 지역 연대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성과 중심의 점검과 혁신적 실천이 이어질 수 있도록 위원회 차원의 환류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uhee@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