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계란유통 바꾸자]수십년전 유통 방식 '답습'…계란유통센터 필요성 제기

등록 2017.01.17 15:36:42수정 2017.01.17 15:40:3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이종철 기자 = 9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한 소비자가 계란옆을 지나가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가격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폭염과 태풍의 영향으로 주요 농산물의 가격이 크게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양배추도 한 포기에 5천5백 원 정도로 평년보다 2배 이상 올랐고 당근도 1kg 기준으로 2배 이상 올라 6천 원을 기록하는 등 농산물 가격이 폭등하고 있다. 또한 AI로 인한 달걀값 오름세까지 계속되며 농축수산물의 가격상승이 계속되면서 설을 앞둔 '밥상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2017.01.09.  jc4321@newsis.com

GPC 계란 가격 신뢰성↑, 농가 피해·소비자 부담도↓

【서울=뉴시스】양길모 기자 = 역대 최악의 조류인플루엔자(AI) 사태가 다소 진정국면으로 접어든 가운데 계란값이 폭등하며 서민물가가 덩달아 올라 소비자 부담감이 가중되고 있다.

 전국에서 AI 사태로 살처분된 가금류의 수가 3000만 마리를 넘어서면서 계란 한판의 가격이 1만원대를 넘었으며, 계란수급이 대란으로 제과·제빵 등 업체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AI중앙수습본부에 따르면 15일 기준 AI사태로 790농가 3202만 마리의 가금류가 살처분·매몰됐고, 살처분 보상금 추정액도 2562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살처분 여파로 계란 소비자가는 3배 가량 올랐다. 대형마트에서는 30알짜리 계란 한판을 찾아보기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설을 앞두고 공급 부족을 메우기 위해 미국산 계란 100t을 국내에 수입키로 하면서 '계란 대란'이 다소 완화될 전망이지만, 하루가 다르게 치솟는 계란가격 상승을 잡아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수십년째 이어진 현행 계란 유통의 구조적인 문제가 이같은 현상을 가져오고 있는 것이라 지적했다.

 계란 생산액은 지난 2014년 기준 1조8072억원으로 전체 농업생산액의 4.0%, 축산업의 9.6%를 차지하고 있으나, 계란 유통은 여전히 영세 수집상에 의한 방식으로 이뤄지는 후진적 구조에 머물고 있다.

 때문에 불투명하고 불공정한 계란가격 형성 및 오염된 계란, 깨진 계란 등 식용 부적합 계란의 부정유통 등은 물론 AI 등 방역에도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다.

【김제=뉴시스】고석중 기자 = 27일 전북 김제시 용지면 신정리의 한 산란계 농장에서 계란을 수거해 폐기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 20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한 용지에는 64개 산란계 농장에서 닭 167만4000마리를 사육하고 있다. 시는 AI 발생농장 중심 보호지역(3㎞)내에 있는 이들 농장에 대한 예방적 살처분과 계란을 폐기하고 있다. 2016.12.27.  k9900@newsis.com

 현재 조합을 이뤄 대형마트나 대기업으로 납품하고 있는 농가는 일부에 불과하다. 대다수의 생산농가가 수집판매상을 거쳐 도매상, 중간도매상, 소매상을 이동 후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유통과정에 의존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다수의 수집판매상이 다수의 농가를 돌아다니다보니 가축질병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2003년 국내에 AI가 처음 발생한 이후 매년 2~3년에 한 번 꼴로 AI사태가 벌어지지만, 정부에서는 매년 확산 방지 대책만을 내놓을 수 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에 전문가들은 AI 발생과 확산을 막기 위해선 산란계 농장과 여러 명의 계란유통 상인이 거래하는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또한 계란 가격을 안정화 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일각에서는 계란 유통의 투명성이나 위생관리를 강화할 수 있는 계란유통센터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

 계란유통센터 중심으로 유통구조가 정리될 경우 공식 거래 가격이 집계된다. 이를 통해 계란 가격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지고, 농가 피해와 소비자 부담도 최소화될 것이라고 전망되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계란 유통체계는 전체 생산량의 약 60%가 중간상인에 의해 유통되는 구조"라며 "때문에 농가에게 불리한 '선 출하 후 정산' 관행이 자리 잡혀 시장 상황에 대처할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년 전부터 일정 규모와 시설을 갖춘 계란유통센터(GPC)를 통해 유통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요구가 있었지만 답보상태"라며 "이를 통해 복잡한 유통단계 간소화는 물론 가격인하 효과 등으로 농가의 피해 및 소비자의 부담를 최소화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