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이르면 올해 서울 초·중·고에 민간 개발 '인공지능 선생님' 온다

등록 2021.02.09 10: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개인정보 보호 가이드라인부터 연내 개발

탈북·다문화 학생 많은 20개교 시범 운영

난독·난산 '학습 취약' 2천명도 우선 지원

향후 5년간 교사 1천명 AI 전문가로 육성

학생 개인 학습전략 등 맞춤형 교육 구상

다수 계획 추경으로…데이터 보호도 관건

[서울=뉴시스] 박민석 기자 =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지난해 12월 서울 중구 바비엥2에서 실시간 화상회의로 개최된 '2020 서울학생참여위원회-교육감 간담회'에 참석해 '코로나 시대 1년을 돌아보며 어려움과 건의사항, 서울학생자치 발전 및 학생권리 옹호를 위한 정책 제안' 등을 주제로 정책 토크를 하고 있다. (사진=서울시교육청 제공) 2020.12.10.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박민석 기자 =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지난해 12월 서울 중구 바비엥2에서 실시간 화상회의로 개최된 '2020 서울학생참여위원회-교육감 간담회'에 참석해 '코로나 시대 1년을 돌아보며 어려움과 건의사항, 서울학생자치 발전 및 학생권리 옹호를 위한 정책 제안' 등을 주제로 정책 토크를 하고 있다. (사진=서울시교육청 제공) 2020.12.1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김정현 기자 = 이르면 올해부터 서울 초·중·고등학교에 민간 기업이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학습지원 시스템이 도입될 전망이다. 다문화 학생이 많은 학교와 탈북 학생 대안학교 20개교부터 시범 도입하고 내년부터 일반 학생에게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교육격차 문제로 대두된 기초학력 진단을 위해서도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밑바탕을 닦는다. 학교에서 수행평가 등 과정중심평가 결과를 데이터로 축적한다. 초·중·고교 교사 1000명을 AI 교육전문가로 양성하고, 모든 수업에서 AI를 익힐 수 있도록 융합 교육을 활성화한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9일 오전 10시 서울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AI 기반 융합 혁신미래교육 5개년 발전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올해부터 오는 2025년까지 서울 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 수업, 평가, 학교, 환경 전 과정에 걸쳐 AI를 활용해 학생 개개인에게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사회 취약계층 학생을 위해 'AI 튜터(tutor, 개인지도교사)'를 도입한다. AI 튜터는 학생의 학습이력 데이터를 분석하고, 학생의 수준과 특성에 맞춰 학습 단계, 자료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일컫는다.

서울 학교에서 AI 튜터를 가장 먼저 접하게 될 대상은 다문화, 탈북 학생과 읽기에 어려움을 겪는 난독, 계산을 어려워하는 난산, 그리고 특수교육 대상은 아니지만 지능지수가 낮은 '경계선 지능' 학생들이 될 전망이다.

먼저 탈북학생 대안학교, 다문화 특별학급 운영 학교 중 20개교를 선정해 AI 튜터를 시범 운영하는 '마중물 학교'를 운영한다. 추가경정(추경)예산을 편성해 올해부터 20개교에 총 1억원씩을 2025년까지 5년간 매년 투입할 계획이다.

다문화·탈북학생이 언어·문화 격차를 겪지 않도록 AI 기반 맞춤형 한국어교육과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올해 준비에 착수해 내년 초등학교, 그 이듬해인 2023년 중·고등학교에서 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적용한다.

난독·난산·경계선 지능 학생 2000명을 선정해 AI 튜터를 우선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올해부터 2025년까지 5년간 매년 2억원씩을 투입하며, 재원은 추경 예산을 편성해 마련할 방침이다. 이들을 위한 진단도구도 개발한다. 이르면 내년 초등학교, 2023년 중·고등학교 도구를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특히 'AI 튜터' 기술은 우수한 기술을 가진 민간 에듀테크(Edu-tech) 업체가 제작한 것도 학교에 도입할 수 있도록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필요하다면 교육연구정보원에서 대학 등에 위탁해 자체 개발해야 하겠지만, 민간 기업의 검증된 프로그램을 발굴해 활용하려 한다"며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도 막바지 단계"라 밝혔다.

당장 올해 시교육청은 학생들의 평가, 학습 이력과 같은 민감한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보호 지침', 교육용 알고리즘 개발 최소 기준을 담은 '가이드라인' 개발에 나선다. 우수 기술을 가진 민간 업체와 민·관·학 협력 거버넌스도 구축한다.

일반 학생들도 수년 내에 AI가 제공하는 기초학력 진단, 맞춤형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추진한다.

AI가 학생의 학습 상태를 파악하려면 먼저 학교급, 학년, 과목·영역별 학습 데이터가 있어야 한다. 중간·기말고사 등 지필평가 대신 학생의 문제해결 과정을 기록하고 평가한 '과정중심평가' 결과를 학교에서 자체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하도록 한다. 추후 국가 차원의 AI 플랫폼이 구축되면 바로 학습 데이터를 탑재해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는 것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기초학력 보장 프로그램이 개발되기 전에도 미리 축적해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교에서 학생의 수준을 자체 분석할 수 있다"며 "자체 개발 중인 학습관리시스템(LMS) '뉴쌤'이나 향후 교육부에서 개발할 플랫폼에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르면 올해 서울 초·중·고에 민간 개발 '인공지능 선생님' 온다


만약 시교육청의 계획이 실현된다면 공교육에서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학생의 수준을 진단하는 지표를 제시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를 통해 학생 개인에게 맞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학습 전략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교사는 AI 튜터의 보조를 받아 행정 업무를 줄이고 교육 본연에 집중할 수 있다. 수업을 기획하고, 학생과 유대감을 형성하며 사회성을 길러주는 역할을 맡게 된다.

다만 이번 중장기 계획은 상당수 추경 예산을 편성해야 추진이 가능한 상황이다. 당장 올해 계획한 예산 총 75억여원 중 10억6000만원은 추경으로 마련해야 한다. 특히 취약 계층에 AI 튜터를 지원하는 등 '맞춤형 교육 및 교육격차 해소' 영역은 사업 예산 총 4억7000만원 전액이 추경이다.

AI 튜터 또한 민간 기업에 학교 문을 열고, 학생의 학습 이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나올 수 있다. 시교육청은 교사 등 제한된 사람만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만들겠다는 입장이다.

시교육청은 "학생 학습과 관련된 자료의 빅데이터화는 AI 교육을 위해 필수적"이라면서도 "정보를 어떻게 수집하고, 누가 취급하며, 언제까지 보관할지는 사회 구성원 전체의 충분한 숙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시교육청은 "법령과 윤리의 범위 안에서 민감 정보가 다뤄질 수 있도록 관련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겠다"며 "담임, 교과교사 등 허가 된 사람에 의해서만 학생들의 소중한 정보가 다뤄질 수 있도록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도 강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교육청은 공교육에서 AI를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AI를 가르치는 데에도 힘을 쏟는다.

학생들이 모든 교과 수업에서 AI 기술을 친숙하게 느끼도록 융합 수업을 확대한다. AI를 직접 가르치는 코딩 교육을 강조하기보다 실생활, 교과 수업 속 문제를 AI를 통해 해결해보는 형식의 활동을 확대한다. 예를 들면 전염병 확산 과정을 예측하거나, 네비게이션이 최적의 길을 찾는 원리를 가르치면서 AI 기술의 원리를 가르치는 식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교사 재교육에도 나선다. 초·중·고교 교사 1000명을 교육대학원에서 AI 융합교육을 이수하도록 하고, 학비 절반을 지원한다. 신규 임용교사는 물론 1급 정교사, 교장·교감 연수에도 AI 관련 교과를 의무 편성한다. 이를 지원하는 강사 역할을 할 선도교사 200명을 구성하고, 학교당 1명의 AI 퍼실리테이터(독려자, Facilitator) 교사를 양성한다.

중·고교 신입생에게 지급되는 30만원의 입학준비금과 저소득층 학생 스마트기기 무상지원 사업 등을 통해 모든 학생이 교육용 스마트기기 1대를 갖도록 캠페인도 벌일 방침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