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LH 사태에도 서울 집값 상승폭 축소…전셋값도 주춤

등록 2021.03.18 14: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국부동산원 3월 셋째 주 아파트값 동향

서울 매매가격 상승률 0.07→0.06% 둔화

"매수심리 안정세 나타나고 거래량 감소"

서울 전셋값도 0.05%로 줄어 '둔화 추세'

LH 사태에도 서울 집값 상승폭 축소…전셋값도 주춤


[서울=뉴시스] 강세훈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 투기 의혹 사태로 2·4 공급대책이 차질을 빚을 것이란 우려에도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이 축소되면서 안정세를 찾아가는 모양새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월 셋째 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전국 아파트값은 0.23% 올라 전주 0.24% 보다 소폭 축소됐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도 0.06% 올라 전주 0.07% 보다 상승폭이 줄었다. 서울의 경우 2·4 공급대책 발표 직전에 상승률이 0.10% 까지 올랐지만 이후 오름폭이 줄어들고 있다.

이달 초 불거진 LH 직원들의 3기신도시 투기 의혹 사태가 확산하면서 2·4 공급대책이 차질을 빚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서도 서울 집값 상승폭이 줄고 있는 것이다.

최근 서울 매수심리도 점차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 부동산원의 서울 매수우위지수는 2월 둘째 주 111.9였으나 2월 넷째 주 109.8, 3월 둘째 주 107.4, 3월 셋째 주 105.6 등을 하락 추세다. 

부동산원은 "2·4 공급대책으로 인한 물량확대 기대감과 중장기 시장안정 전망, 매수심리 안정세, 시중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거래량 감소세가 나타나며 가격 상승폭이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도 전날 배포한 자료에서 "2·4 대책 발표 이후 주택시장은 점차 안정세로 전환돼 가고 있다"며 "그동안 집값 급등으로 주택구입부담지수가 사상 최고치에 근접하고 있어 지속적인 상승에는 한계가 있다. 현재 우리 주택시장은 다수 전문가가 전망하는 바와 같이 중요한 전환기를 맞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 자치구 별로 살펴보면 한강 이남에서는 양천구(0.11%)가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목동 아파트 위주로 많이 올라 서울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또 서초구(0.09%)는 서초·방배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상승세가 이어졌고, 강남구(0.08%)도 압구정·개포동 주요 재건축 단지 위주로 상승하며 서울 평균 상승률을 웃돌았다.

한강 이북에서는 노원구(0.10%) 상승률이 높았다. 노원구는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월계동 구축 아파트 위주로 상승폭이 확대됐고, 도봉구(0.07%), 마포구(0.7%) 등도 서울 평균 상승률을 웃돌았다. 반면 종로구(0.02%), 성북구(0.03%), 은평구(0.03%), 서대문구(0.03%) 등은 서울 평균 이하의 상승률을 보였다.

경기도 아파트값 상승률도 지난주 0.38%에서 이번 주 0.37%로 소폭 축소됐다.

의왕시(0.90%)는 정비사업 영향이 있는 오전·고천동 위주로 상승세가 이어졌고, 안산시(0.85%)도 상록구와 단원구 아파트 단지 위주로 많이 올랐다.

최근 6번째 3기 신도시로 지정된 시흥시(0.81%)는 지난주(0.82%)에 비해서는 소폭 줄었지만 이번 주에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정왕동 신축 대단지 위주로 매수세가 몰렸다. 광명시(0.43%)도 평균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방 아파트값은 0.19% 올라 지난주와 같은 상승률을 유지했다.

전세가격 역시 상승세가 둔화됐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0.15% 올라 전주 0.16%에 비해 소폭 줄어들었다.

수도권은 0.15%에서 0.14%로 상승폭이 줄어들었고, 서울도 0.06%에서 0.05%로 상승폭이 줄었다. 서울 전셋값 상승폭은 1월 셋째 주 이후 상승폭이 지속적으로 축소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자치구별로 보면 강동구(0.01%), 강남구(0.01%), 마포구(0.01%)가 가장 낮은 상승률을 나타냈고, 성북구(0.09%), 노원구(0.09%)가 가장 높았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상대적 가격대 낮은 강북권 일부지역과 구축 위주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고가단지 위주로 매물 증가세 보이며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