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 내림세로…서울선 '노도강' 하락폭 최대

등록 2022.01.14 14:00:00수정 2022.01.14 14:01:4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부동산원, 11월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격지수

전국·수도권·서울 기준 모두 하락세로 돌아서

서울 내림세, 2020년 4월 이후 1년7개월 만

중저가 외곽지역 위주로 하락폭 크게 나타나

대선·대출규제·금리인상…시장 숨고르기 돌입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서울 중구 남산에서 시내 아파트 단지가 내려다보이고 있다. 2021.12.03. xconfind@newsis.com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서울 중구 남산에서 시내 아파트 단지가 내려다보이고 있다. 2021.12.0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예슬 기자 = 서울과 경기, 부산 등 전국 주요 지역의 아파트 실거래 가격이 지난해 11월 기준 하락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는 중저가 주택이 밀집한 노원·도봉·강북 등 동북권에서 하락률이 가장 높았다.

14일 한국부동산원이 공표한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격지수 변동률을 보면 전국, 수도권, 서울에서 각각 전월 대비 -0.15%, -0.27%, -0.79%를 기록하며 내림세로 돌아섰다. 서울에서 이 지수가 하락세를 보인 것은 2020년 4월(-0.86%) 이후 1년7개월 만이다.

집값이 꼭지에 도달했다는 판단, 대선을 앞둔 시점, 강력한 대출규제, 금리인상 등이 맞물려 관망세가 짙어지며 급매물 위주로 소진된 결과라는 해석이 나온다.

실거래가지수는 실제 거래된 가격을 이전 거래가와 비교해 지수화한 것이다. 거래 신고가 2회 있는 동일 주택(동일 동·층·면적)의 실거래 가격 변동률을 이용해 지수를 산출한다. 이 지수는 최근의 시장 상황을 정확히 반영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거래가 이뤄진 실제 자료만을 활용해 지수를 산정하기에 변동성이 큰 경향이 있다.

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을 비롯해 경기(-0.11%), 대전(-0.82%), 부산(-0.51%), 울산(-0.09%), 세종(-4.11%), 충북(-0.05%)에서 하락세가 나타났다.

서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용산·종로·중구가 포함된 도심권이 전월에 비해 3.82% 오른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4개 권역이 모두 하락세로 돌아섰다. 노원·도봉·강북 등 동북권(-1.76%)의 하락률이 최대를 기록했다. 구로·금천·영등포 등 서남권(-0.94%), 마포·은평·서대문 등 서북권(-0.42%), 강남4구가 모인 동남권(-0.05%) 순이다.

아파트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하락폭이 더 크게 나타난 것이다. 대출의존도가 높은 2030세대 '영끌족'의 관심이 큰 지역일수록 대출규제로 인한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실례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노원구 공릉동 풍림아파트 전용 84㎡는 지난해 12월22일 8억원(16층)에 팔렸다. 동일 규모 주택이 11월2일 10억원(7층)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2억원이나 낮아진 것이다.

12월 전국 실거래가격지수의 변동률 잠정치는 -0.91%로 집계됐다. 수도권은 -1.09, 서울은 -0.48%로 추산된다. 작성 시점까지 신고 된 자료로만 산출한 잠정 결과라 확정치와는 차이가 있다.

내년 3월 대선까지는 거래 위축과 거래가 하락이 지속될 전망이다. 기준금리 인상도 매수세를 얼어붙게 하는 하나의 요인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기준금리를 종전의 1.00%에서 1.2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1년10개월 만에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으로 돌아간 것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기준금리 인상과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이 맞물리며 부동산 구입심리가 제약되고 주택 거래량을 감소시킬 요인이 될 것"이라며 "가격상승을 주도하던 수도권 주요 지역도 보합국면을 나타낼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함 랩장은 "특히 3월 대선을 앞두고 세제, 공급 등 신정부의 부동산 정책변화 가능성이 모두 열려있는 만큼 수요자의 주택구입의사 결정은 한동안 숨을 고를 전망"이라며 "무분별한 주택구입보다는 대기수요가 꾸준한 신축이나 교통망 예정지, 공급희소성이 지속될 수 있는 지역 위주로 매입·청약수요가 제한되며 지역별 양극화가 커질 것"이라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