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산업부, 올해 소부장 R&D 2.3조 투자…특화단지 육성 본격화

등록 2022.03.03 12:00:00수정 2022.03.03 15:41:4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제9차 소부장 경쟁력강화위원회 개최

으뜸기업·특화단지 대상 지원정책 실행

미래차 등 신산업·신소재 협력사업 승인

【세종=뉴시스】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2019.09.03. ppkjm@newsis.com

【세종=뉴시스】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2019.09.03.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 고은결 기자 = 정부가 올해 소재·부품·장비 관련 연구개발(R&D)에 2조3000억원을 투입해 산업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특화단지 내 협력생태계 조성 사업도 본격 추진해 세계적 수준의 클러스터 육성에도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9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이 포함된 '2022년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 시행계획' 등 총 6건의 안건을 논의·확정했다.

이날 의결한 2022년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 시행계획에는 범부처 차원의 올해 소부장 정책 추진 방향이 담겼다.

주요 내용을 보면 핵심전략기술의 자립화와 경제 안보 실현 등을 위해 소부장 R&D에 2조3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2019년 이후 바뀌지 않은 100대 핵심전략기술을 기술환경 변화, 품목별 공급안정성 진척도 등을 고려해 재편도 추진한다.

소부장특별법 개정을 통해 소부장 범위에 광물 등 원재료까지 폭넓게 반영하고, 공급망 취약점 진단 및 개선에 특화된 지원정책도 추가한다. 핵심전략기술에 특화한 으뜸기업 및 강소기업·스타트업을 각 20개사씩 추가 선정·지원하고, 1000억원 규모 소부장 정책펀드도 추가 조성한다.

이 밖에 해외 수요기업이 참여하는 글로벌 협력모델을 포함해 협력모델을 20개 이상 발굴한다. 또한 R&D가 원활히 사업화로 연계되도록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지속, 양산성능평가 및 신뢰성 향상 지원을 강화한다.

5개 특화단지 내 협력생태계 조성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소부장 특화단지를 첨단투자지구로 지정하는 방안도 검토해 나간다. 유턴기업 소득 법인세 및 관세 감면 기한을 3년 연장 등 투자 관련 인센티브도 조속히 확대할 예정이다.

이날 위원회에서는 소재·부품·장비 으뜸기업 맞춤형 지원방안도 의결됐다.

으뜸기업이란 100대 핵심전략기술 분야에 세계 최고 수준으로 성장할 잠재력을 갖춘 소부장 기업이다. 지난해 22개 기업을 최초 선정한데 이어 올해 21개 기업을 추가 선정했다.

정부는 범부처에서 가용한 100여개 기업 지원 프로그램을 메뉴판식으로 으뜸기업에 제시한 후 으뜸기업이 필요한 정부 지원을 선택하는 수요 맞춤형 지원방안을 마련했다. 향후 5년간 기술개발, 사업화, 글로벌 진출 등 전주기에 걸쳐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21개 소부장 으뜸기업 전체에 대해 세계적 기업에 상응하는 수준의 기술개발을 돕는다. 기업 컨소시엄 당 연간 최대 50억원 규모를 지원한다. 개발된 기술이 조속히 사업화되고 매출로 이어지도록 실증과 자문·인력 등도 지원한다.

나아가 으뜸기업 브랜드 확산을 위한 해외 전시 참가, 마케팅, 컨설팅 등 지원 및 해외 규격 인증 획득도 지원한다.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수출바우처, 해외규격인증 획득 사업에 우대하고 해외거점 구축, 시장·기술 정보 확보 등도 돕는다.

정부는 올해 안에 20개 이상의 소부장 으뜸기업을 추가 선정하는 등 2024년까지 으뜸기업을 100개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정부는 5개 소부장 특화단지의 세부 지원 계획도 확정했다. 이를 통해 수요-공급 기업 간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 '밸류체인 완결형·기술 자립형 클러스터화'를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5개 특화단지에 대해서는 단지별 패키지형 기업 지원, 공급망 관리 및 그 외 규제특례, 지재권분쟁대응센터, 기술나눔 등 지원을 추진하다. 구체적으로 단지별로 기술 자립화를 위한 기업 간 협력 R&D, 기술개발 성과물의 실증·사업화 등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재직자 교육 등을 연계한 패키지형 지원을 추진해 2025년까지 1993억원을 투자한다.

또한 특화단지 내 밸류체인상 입주가 필요한 기업을 유치하고, 기업 간 공급 데이터를 공유하는 정보화 시스템 구축 등 공급망 관리 지원도 검토한다. 아울러 입주기업에 대해서는 규제특례를 제공하고, 분쟁위험 경보 및 대응 전략 제공 등도 추진한다.

이번 위원회에서는 5건의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모델 및 상생모델 사업도 승인됐다. 승인된 협력모델은 차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 목적기반 차량(PBV) 소재, 차량이송 자율주행로봇용 광학센서·부품 등이다.

정부는 승인된 협력모델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약 550억원 규모의 R&D 지원 등을 지원한다. 인력·인프라, 규제특례 등 기업이 원하는 맞춤형 패키지 지원도 제공한다.

산업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2026년까지 900여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유망 신산업 관련 시장을 선점할 것으로 기대했다.

박진규 산업부 1차관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안정적인 소재·부품·장비 공급망 구축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우려가 점차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기존 첨단기술 중심 소부장의 범위를 넘어 요소와 같은 범용품과 석유, 가스 등 에너지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에 걸쳐 외부충격에 흔들림 없는 공급망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