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美 "러, 北 접촉해 탄약 요청…실제 사용 징후는 없어"(종합)

등록 2022.09.07 06:06:2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우크라서 러시아 처한 상황 보여줘…이란과도 접촉"

국무부 "北 관련 유엔 제재 위반…러, 상임이사국 특히 우려"

[워싱턴=AP/뉴시스]패트릭 라이더 미국 국방부 신임 대변인이 6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2.09.06.

[워싱턴=AP/뉴시스]패트릭 라이더 미국 국방부 신임 대변인이 6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2.09.06.


[워싱턴=뉴시스]김난영 특파원 = 우크라이나를 침공 중인 러시아가 북한에 탄약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 침공 과정에서 처한 어려움을 보여준다는 평가가 나온다.

팻 라이더 미국 국방부 대변인은 6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러시아가 북한으로부터 로켓·포탄을 구매하려 한다는 보도와 관련, "러시아가 탄약을 요청하기 위해 북한과 접촉했다는 징후가 있다"라고 밝혔다.

앞서 미국 언론은 최근 기밀 등급을 하향한 정보를 인용, 러시아 국방부가 북한으로부터 로켓·포탄 등을 대량 구매하는 절차에 있으며, 앞으로도 추가로 군사 장비를 구매하려 하리라고 보도한 바 있다.

라이더 대변인은 "러시아가 구체적으로 탄약을 요청했다는 게 우리가 가진 정보"라고 설명했다. 다만 "지금 시점에서 이보다 더 구체적으로 알려줄 수는 없다"라고 발언, 실제 북한의 지원 역량 등에는 말을 아꼈다.

라이더 대변인은 다만 이번 정보를 두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 관련해 물류·유지 역량 면에서 처한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러시아 쪽에 일이 좋게 돌아가지 않는다고 평가한다"라고 말했다.

같은 맥락에서 "그들이 북한과 접촉했다는 것은 유지 측면에서 그들이 일부 도전을 받고 있다는 징후"라고 거듭 말했다. 또 국제사회가 러시아의 상황을 알도록 이런 정보를 공개한다는 취지로도 말했다.

그는 러시아가 무기를 요청하려 북한에 접촉한 게 이번이 처음인가 묻는 말에는 "나는 답을 갖고 있지 않다"라고 했다. 다만 러시아가 같은 맥락에서 이란과도 접촉했다고 설명했다.

백악관에서도 이날 같은 정보가 나왔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는 러시아의 군사 공급망을 죄고 있다"라며 "예를 들자면 러시아는 군사 설비와 관련해 이란과 북한에 의존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도 별도 온라인 브리핑에서 "그들(러시아)이 구매 절차를 진행 중이라는 징후가 있다"라고 말했다. 다만 "이 구매가 완료됐다는 징후는 없고, 확실히 이들 무기가 우크라이나에서 사용됐다는 징후가 없다"라고 했다.

커비 조정관은 이란을 비롯해 북한을 상대로 무기 지원을 요청하는 러시아의 절박함을 재차 강조하면서도 "이들 무기가 현재 전장에 있다는 징후는 없다"라고 반복했다.

베단트 파텔 미국 국무부 수석부대변인도 정례브리핑에서 "러시아 국방부는 북한으로부터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사용할 수백만 개의 로켓과 포탄을 구매하는 과정에 있다"라며 "이는 러시아군이 심각한 공급 부족에 시달린다는 징후"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러시아가 추가로 군사 설비를 구매할 수 있다면서도 실제 사용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확인해 줄 사항이 없다고 했다. 또 실제 거래가 이뤄지면 "북한과 관련한 유엔 제재 위반"이라며 다수 유엔 결의안이 북한으로부터의 무기 수입 등을 금지한다고 강조했다.

파텔 부대변인은 "안보리는 북한의 대량파괴무기(WMD)와 탄도미사일에 대응해 십 년도 전에 이런 금지 조치를 부과했다"라며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이를 위반할 경우 특히 우려되는 사항이 되리라고 설명했다.

한편 장-피에르 대변인은 이날 러시아 테러지원국 지정 여부와 관련, "우리는 그게 러시아에 책임을 지우기 위해 가장 효과적이거나 강력한 방법이라고 보지 않는다"라고 했다. 앞서 조 바이든 대통령은 전날 러시아 테러지원국 지정에 반대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장-피에르 대변인은 러시아를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할 경우 "우크라이나와 세계에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호 행보를 취해 왔다. 특히 우크라이나 동부 친러 세력의 자칭 공화국과 관계 수립도 시도 중이며, 해당 지역 재건 과정에 북한 건설 노동자가 파견될 가능성 역시 꾸준히 거론돼 온 상황이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앞서 이를 두고 "우크라이나 자주권에 대한 모욕"이라며 "그곳에서 이뤄질 프로젝트에 관한 결정은 그 어떤 정부도 아닌 우크라이나 정부의 몫"이라고 했었다.

아울러 한때 일부 언론에서는 북한이 10만 명에 달하는 지원군을 우크라이나로 보내 러시아를 대리해 싸우게 할 수 있다는 보도도 나왔었다. 다만 해당 보도를 두고는 이반 네차예프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이 "가짜 이야기"라고 일축한 바 있다.

러시아는 이란으로부터는 무인기를 구매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의 대러시아 무기 지원 가능성도 침공 초기부터 거론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