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고용 2.5% 증가…"현대차, 직원 1만명 늘렸다"
82개 그룹, 전년대비 4만명 증가
고용 증가, 현대차·삼성·SK 순
고용 감소, 쿠팡·LG·효성 순

공정거래위원회가 올해 지정한 82개 그룹의 지난해 고용은 전년 대비 4만명 정도 증가했다. 이는 2021년 76개 그룹이 6만명 이상 일자리를 늘린 것에 비하면 적은 수치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82개 그룹 대상 2021~2022년 고용 변동 분석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올해 공정위가 지정한 82개 대기업 집단 내 국내 계열사는 3076개다. 이들 기업의 지난해 전체 직원수는 176만2391명으로 전년 171만9410명에 비해 4만2981명(2.5%↑) 많아졌다. 이는 2020년 대비 2021년 기준 76개 그룹에서 늘린 6만3740개(3.9%↑) 일자리보다는 적은 숫자다.
지난해 82개 그룹 전체의 고용 규모는 12월 기준 고용보험에 가입자 수 1489만8502명의 11.8% 수준이다. 82개 그룹 중 최근 1년 새 직원 수가 증가한 곳은 52곳이었고, 22곳은 감소했다.
직원 일자리가 늘어난 52곳 중 고용 인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그룹은 '현대차'로 확인됐다. 현대차그룹은 2021년 17만4952명에서 지난해 18만8891명으로 1만3939명 늘었다. 최근 1년새 고용이 1만명 넘게 늘어난 그룹은 현대차가 유일했다.
이어 ▲삼성 7148명(2021년 26만6854명→2022년 27만4002명) ▲SK 7061명(11만7438명→12만4499명) ▲CJ 5416명(5만2931명→5만8347명) 순으로 고용이 증가했다.
반면 쿠팡 그룹은 1년새 2만명 넘는 일자리가 사라졌다. 2021년 7만2763명이던 직원 수는 지난해 5만2551명으로 1년새 2만212명(27.8%) 감소했다. 이외 ▲LG(2016명↓) ▲효성(1959명↓) ▲GS(1345명↓) ▲세아(1268명↓) 그룹 등도 1년새 1000명 넘는 고용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2위 현대자동차(7만2654명) ▲3위 LG전자(3만6093명) ▲4위 기아(3만5684명) ▲5위 SK하이닉스(3만1374명) 등의 순이었다. 삼성전자는 1년 동안 직원 수가 6579명 늘었고, SK하이닉스도 1733명 증가했다. 반면 LG전자는 2295명 직원이 감소했다.
이외 ▲6위 쿠팡풀필먼트서비스(3만1240명) ▲7위 LG디스플레이(2만9953명) ▲8위 이마트(2만6560명) ▲9위 롯데쇼핑(2만2021명) ▲10위 삼성디스플레이(2만1223명) 순으로 지난해 고용 규모가 큰 상위 10개 대기업군에 꼽혔다.
그룹 전체 고용 규모별 순위는 삼성이 27만4002명으로 가장 많았다. 삼성의 국내 직원 수는 종전 26만명대에서 27만명대로 진입한 것은 2013년 이후 10년 만이다.
이어 ▲현대차(18만8891명) ▲LG(15만6775명) ▲SK(12만4499명) ▲롯데(8만7995명) ▲신세계(7만3739명) ▲KT(5만8541명) ▲CJ(5만8347명) ▲쿠팡(5만2551명) ▲한화(4만2555명) 그룹이 고용 규모 순으로 10위권에 들었다.
◎공감언론 뉴시스 lovelypsyche@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