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김정은, 핵반격가상전술훈련 지도…초대형방사포 발사(종합)

등록 2024.04.23 07:15:27수정 2024.04.23 10:44:1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초대형 방사포병, 핵무기 관리체계 '핵방아쇠' 안에서 운용"

김정은 "전술핵 공격 운용 공간 확장하고 다중화 실현"

한미 훈련들 거론하며 명분 삼기…"적대세력 군사적 도발"

[서울=뉴시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2일 초대형 방사포병이 참가하는 핵반격 가상종합전술훈련을 처음으로 지도한 모습. (사진=노동신문 캡처) 2024.04.23.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2일 초대형 방사포병이 참가하는 핵반격 가상종합전술훈련을 처음으로 지도한 모습. (사진=노동신문 캡처) 2024.04.23.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남빛나라 기자 =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초대형 방사포병이 참가하는 핵반격 가상종합전술훈련을 처음으로 지도했다고 23일 밝혔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국가 핵무력의 신속반격 능력을 실질적으로 강화하고 전쟁 억제력을 제고하는 데서 중요한 몫을 담당하게 되는 초대형 방사포병 부대들을 국가 핵무기 종합관리 체계인 '핵방아쇠' 체계 안에서 운용하는 훈련이" 전날 최초로 진행됐다고 밝혔다.

훈련은 "국가 최대 핵위기 사태경보인 '화산경보' 체계발령 시 부대들을 핵반격 태세에로 이행시키는 절차" 및 "실동훈련과 핵반격 지휘체계 가동연습, 핵반격 임무가 부과된 구분대를 임무수행 공정과 질서에 숙련시키고 핵모의 전투부를 탑재한 초대형 방사포탄을 사격시키는" 순서로 진행됐다.

북한은 발사된 방사포가 "사거리 352㎞의 섬목표를 명중타격"했다고 주장했다. 평양에서 육·해·공군 본부가 있는 계룡대까지의 직선 거리는 약 350㎞다. 한미 연합 편대군종합훈련(KFT)이 진행 중인 군산 공군기지도 사정권에 들어간다.

김 위원장은 "오늘 초대형 방사포병까지 인입된 핵반격 가상종합전술훈련이 성과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전술핵 공격의 운용공간을 확장하고 다중화를 실현할 데 대한 당 중앙의 핵무력 건설구상이 정확히 현실화되였다"고 만족감을 표했다.

그는 "이번 종합 전술훈련을 통하여 초대형 방사포까지 인입된 우리 핵전투 무력의 위력과 효용성은 비할 바 없이 증대되고 모든 구분대들이 커다란 자신심에 충만되게 되였다"며 "우리의 핵무력이 전쟁억제와 전쟁 주도권 쟁취의 중대한 사명을 임의의 시각, 불의의 정황 하에서도 신속 정확히 수행할 수 있게 철저히 준비하는 데서 중요한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신문은 "훈련은 우리 핵무력의 신뢰성과 우수성, 위력과 다양한 수단에 대한 시위, 핵무력의 질량적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최근 진행된 한미 훈련들을 "우리 공화국을 '힘'으로 압살하려는 적대세력들의 끊임없는 군사적 도발"이라고 규정하며 이번 핵반격가상전술훈련 명분으로 삼았다.

12일 공군 군산기지에서 시작된 KFT와 관련해 신문은 "우리 국가의 주변지역에 빈번히 핵전략 자산들을 끌어들이고 추종세력들을 규합하여 전쟁연습들을 벌리고 있는 것도 모자라 우리를 정조준한 것이라고 내놓고 광고하며 감행되고 있는 이와 같은 미국의 군사적 도발 추태는 오는 26일까지 지속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미 특수작전 부대가 18일 경기도 오산비행장에서 연합 공중침투훈련을 실시한 사실도 거론했다.

북한이 말하는 초대형 방사포는 직경 600㎜짜리 'KN-25'다. 북한은 다연장 로켓포를 '방사포'라고 부르며, 한미 군당국은 북한의 초대형 방사포를 단거리탄도미사일(SRBM)로 분류하고 있다. 미국은 북한의 600㎜ 초대형 방사포에 'KN-25'라는 코드명을 붙였다. KN-25 사거리는 400㎞로, 한국 수도권과 주요 군사시설을 겨냥한다.

우리 합동참모본부(합참)는 전날 오후 3시1분께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비행체 수 발을 포착했다"며 "북한 미사일은 300여㎞ 비행 후 동해상에 탄착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이날 훈련은 장창하 미사일 총국장이 지휘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