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자영업]벌이 시원찮고, 빚은 쌓이고…'경기 한파'에 위태
자영업 대부분 영세업종…경기침체 직격탄 우려
빠른 속도로 불어나는 자영업 빚 부실화 위험도
【서울=뉴시스】조현아 기자 = 자영업자의 벌이는 시원찮은데 빚만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불경기 속 금리인상과 최저임금 상승 등으로 살아남기 위한 경쟁이 날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는 '열에 아홉 꼴'로 가게가 문을 닫을 만큼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부진을 겪었다. 앞으로 경기가 급속하게 얼어붙을 경우 경쟁에서 밀려나는 자영업자가 더 늘어나고 대출 부실화까지 이어져 한국 경제의 뇌관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6일 통계청 등의 '2018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영업자의 가구당 부채는 1년 전 수준(1억189만원)보다 250만원(2.5%) 늘어난 1억439만원에 달했다. 상용근로자(8888만원)와 임시·일용근로자(3350만원)의 부채 규모와 비교하면 압도적으로 많았다.
자영업자가 금융권에서 빌린 대출 규모는 이미 6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국은행의 '2018년 9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2분기 기준 자영업자 대출은 590조7000억원으로 지난 2017년말(549조2000억원) 수준에 비해 41조5000억원(15.6%)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3~4분기에도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약 650조원에 다다랐을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자영업자가 손에 쥐는 돈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지난 2017년 기준 자영업자의 가구소득은 평균 6365만원으로 전년(6232만원) 수준보다 133만원(2.1%) 증가하는 데에 그쳤다. 같은기간 임금 근로자(상용·임시일용직)의 가구소득 증가율이 평균 5.2%로 나타났는데 이보다 절반 가량 적게 늘어난 셈이다.
국회예산정책처 권일 경제분석관이 분석한 '자영업자 가구와 근로자 가구간 소득차이 및 빈곤위험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991~1996년에는 자영업자 가구 소득 수준이 근로자 가구에 비해 0.8% 놓았으나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역전된 이후 지속 벌어져 현재 약 2.6~11.3% 정도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우리나라 자영업 대부분이 수익성이 낮은 영세 업종에만 몰려 있는 탓이다. 은퇴를 맞은 50~60대 베이비 부머 세대가 주로 진입 장벽이 낮은 치킨집, 편의점 등 음식업이나 도·소매업, 부동산업, 숙박업 위주의 생계형 창업에 뛰어들어서다. 통계청 자료 등에 따르면 전체 자영업 가운데 이들 업종의 비중이 약 60%에 달하고 있다.
가뜩이나 좁은 시장에서 취약한 업종의 자영업자끼리 경쟁하는 구조이다보니 경기가 더 가라앉는 상황 등이 오면 순식간에 벼랑 끝으로 몰릴 수 밖에 없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는 "자영업의 가장 큰 문제는 장사 자체가 안 되는 것"이라며 "단기 지원책으로 진통제를 놔주는 것 만으로 자영업 문제는 해결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대출 부실화 위험도 확대될 수 있다. 빚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금리가 오르고 수익성까지 악화되면 원리금 감당이 안 되는 자영업자들이 늘어날 수 있어서다. 자영업자의 소득대비 부채규모(LTI)는 지난 2017년말 189%로 2013년말(167%)보다 22%p 높아진 상황이다. 버는 돈에 비해 갚아야 할 돈이 더 늘었다는 얘기다.
김수진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자영업의 매출 부진과 소득 감소 추세는 구조적인 문제로 단기에 개선되기 어렵다"며 "취약 업종의 개인사업자 대출을 중심으로 건전성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