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여성 출산 마지노선 35세…"高연령에 출산 포기"
"만혼화, 출생아 감소로 이어질 수도"
실제 기대자녀수 1.92명…이상은 2명↑
"전문직 경력 쌓으려면 '無자녀'가 적정"
병원 신생아실 모습.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뉴시스DB) [email protected]
통상 기혼 여성들 중 2명 이상의 자녀를 원하는 경우가 많은데도 출산율은 그에 못 미쳤는데, 여성들은 그 원인으로 어려운 일·가정 양립 실현과 양육 부담을 장애물로 꼽았다.
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자녀 출산 실태와 정책 함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결과 현재 배우자가 있는 15~49세 유배우 여성의 84.8%가 '향후 출산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반대로 출산 계획이 있는 여성의 비율은 10.4%로 3년 전인 2015년 12.0%보다 1.6%포인트 감소했다. 생각 중이거나 모르겠다는 비율은 4.8%였다.
여성들은 대부분 35세 이전에 출산을 마치는 경향을 보였다. 연령별로 향후 출산 계획이 없는 유배우 여성 비율은 25세 미만 45.8%, 25~29세 46.3%, 30~34세 55.9% 등 30대 초반까진 50% 안팎을 보이다가 35~39세 때 82.3%로 26%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이후 40~44세 94.4%, 45~49세 98.7%까지 올라간다.
출산 계획을 세운 경우도 25세 미만에서 44.2%로 가장 높았다가 30~34세 때 30.2%까지 서서히 낮아진 뒤 35~39세 때 3분의 1 수준인 11.9%까지 급감했다. 40세 이후부턴 3.4%와 0.7% 등으로 집계됐다.
연구를 맡은 이소영 보사연 연구위원은 "대부분 출산이 35세 이전에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라며 "만혼화 현상을 고려할 때 실질적으로 자녀 출산 계획을 세우고 있는 기간이 짧다는 의미이며 이것이 출생아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향후 출산 계획이 없어 출산이 완결된 유배우 여성 9011명은 출산 중단 이유로 '자녀 수가 충분하다'는 것과 함께 '본인의 고연령'을 많이 꼽았다(각 20.1%). 이는 향후 출산 계획과 당사자 연령 간 관계가 실제로 높다는 방증이다.
그 다음으로는 '자녀 교육비 부담'(16.8%), '자녀 양육비 부담'(14.2%), '소득·고용불안정'(7.9%), '일·가정양립 곤란'(6.9%) 등 답변이 뒤따랐다.
보통 실제 출산한 자녀수와 향후 출산을 계획한 자녀수를 더한 것을 '기대자녀수'라고 부른다. 특히 유배우 여성의 기대자녀수는 여성이 전체 가임 기간에 낳은 평균 자녀수를 추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완결출산율'로서 의미가 있다.
조사 결과 기대자녀수는 1.92명이었다. 구체적으로 2명이 60.9%로 가장 많고 1명(21.2%), 3명 (14.2%), 무자녀(2.1%), 4명 이상(1.6%) 순이었다.
이는 출생아수인 1.75명보다는 많지만 평소 기혼 여성들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자녀수 2.16명보다 0.24명 적은 수치다. 우리나라 기혼 여성들은 원하는 만큼 자녀를 출산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뜻이다.
이와 관련해 출산력 조사에선 15~49세 기혼 여성 1만1207명(무응답 제외)에게 '인생 목표를 실현하는 데 적정 자녀수'를 물었다.
이 가운데 '전문가로서 경력을 쌓는 것'이란 문항엔 가장 많은 37.5%가 필요한 자녀수를 '0명'으로 답했다. 같은 문항에 1명이라고 한 응답자 비율이 32.8%로 가장 많고, 0명은 28.4%였던 2015년보다 경력을 쌓기 위해 무자녀를 선호하는 경향이 심화된 셈이다.
'나 자신과 관심 있는 일에 충분한 시간을 마련하는 것' '소득과 재산을 충분히 마련하는 것' 등의 문항엔 3년 전과 마찬가지로 1명이라고 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하지만 0명이라고 답한 비율도 20.9%에서 27.7%, 19.5%에서 25.1% 등으로 증가했다.
자녀들에게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라면 절반이 넘는 56.5%가 1명이 적정하다고 답해 이 또한 적은 자녀수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소영 보사연 연구위원은 "국가가 개인에게 (출산이라는) 선택을 강요해선 안 되지만 선택하고 싶은 항목을 다양하고 풍부하게 만들어 주는 것은 필요하다"며 "자녀 출산과 양육을 위한 경제적 지원, 일·가정 양립에 대한 지원이 최우선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세종=뉴시스】유배우 여성 연령별 추가 출산 계획 여부. (그래픽=보건복지포럼 갈무리)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