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의대 예과1학년 학생 1명 수업 참석…의정 갈등 어쩌나

등록 2025.03.29 04:05:00수정 2025.03.29 06:38: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SBS TV '뉴스토리'가 29일 오전 8시 방송된다. (사진=SBS TV '뉴스토리' 제공) 2025.03.2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SBS TV '뉴스토리'가 29일 오전 8시 방송된다. (사진=SBS TV '뉴스토리' 제공) 2025.03.2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신효령 기자 = 29일 오전 8시 방송되는 SBS TV '뉴스토리'가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으로 생긴 의료 공백 실태를 조명한다.

이날 방송에서 1년 넘게 이어지는 의정 갈등이 초래한 의료 공백 실태와 의과대학 수업 파행 현장을 공개한다.



중증 외상환자를 응급 치료하기 위해 전국 17곳에서 운영 중인 권역외상센터는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나면서 직격탄을 맞았다.

인력 부족에 응급 수술을 할 수 있는 여력이 크게 떨어졌다. 응급환자를 수용하지 못하는 병원이 늘면서 1분 1초를 다투는 환자들이 먼 거리에 있는 병원을 찾아다니는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 현상이 늘었다.

의료 공백 사태로 인해 피해를 당한 환자의 가족들은 "뉴스에서만 접하던 일을 직접 겪으니 분통이 터진다"며 취재진에 답답한 심정을 토로했다.



정부는 필수의료 위기 극복과 지역의료 격차 해소를 명분으로 의대 증원을 골자로 한 의료 개혁을 추진해왔지만, 혼란만 커지면서 졸속 행정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의료계 역시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 추진에 반발하며 전공의 사퇴, 의대생 휴학 등 집단행동을 통한 강경 대응을 이어갔다. 환자의 생명을 담보로 한 '집단 이기주의'라는 비난을 받았다.

제작진은 정부와 의료계의 강대강 대치 속에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을 만났다. 이들은 "'복귀'라는 말에 동의하지 않고 싶다"고 말할 정도로 '복귀'보다는 저마다 삶의 길을 모색하는 분위기였다.

의료계 일부에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젊은 의사들을 정책 전문가로 양성하기 위한 움직임도 나타났다.
 
2025학년도 증원된 인원으로 이미 수업이 시작된 의과대학들 역시 큰 혼란에 빠져 있다. 취재진이 방문한 지방의 한 의과대학에서는 예과 1학년 수업에 단 1명의 학생만 참여했을 뿐이었다.

교육 현장에서 의대 증원 후폭풍이 커졌다. 정부는 3월 말까지 의대생 전원 복귀를 전제로 내년도 의대 모집 정원을 증원 이전 수준으로 되돌리겠다고 밝히면서 미등록 의대생들은 제적이나 유급이 불가피하다고 압박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 의대생들이 등록 신청을 하지 않았다. 대규모 제적사태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환자단체와 시민단체는 "정부가 의사집단에 굴복했다"고 비판하며, 엄정한 대응을 촉구했다.

의료 붕괴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갈등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까. '뉴스토리'는 환자와 국민을 위한 의료 개혁이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now@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