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3차 해양협력대화 조율 중…서해 구조물 문제 등 포함할 듯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제11차 한일중 외교장관회의 참석차 방일 중인 조태열 외교부장관이 21일 오후(현지 시간) 일본 도쿄에서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과 회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외교부 제공) 2025.03.2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3/21/NISI20250321_0020741735_web.jpg?rnd=20250321195708)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제11차 한일중 외교장관회의 참석차 방일 중인 조태열 외교부장관이 21일 오후(현지 시간) 일본 도쿄에서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과 회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외교부 제공) 2025.03.2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14일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한·중 양국은 이달 중하순께 서울에서 제3차 해양협력대화를 개최하는 일정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의는 강영신 외교부 동북·중앙아국장과 홍량 중국 외교부 변계해양사 국장이 수석대표로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제3차 한중 해양협력대화 개최와 관련해 "한중 외교당국 간 조율 중이지만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고 외교부 당국자가 전했다.
한중 해양협력대화는 양국 간 해양문제 전반에 대해 종합적으로 조율·협의하는 국장급 협의체로, 지난 2021년 4월과 2022년 6월 두 차례 개최된 바 있다.
이번에 제3차 해양협력대화가 개최되면 한·중 간 해양 협력 평가, 해양 법규 및 정책, 해양 관련 현안 등 한·중 간 해양 문제 전반에 관해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중국이 2018년과 2024년에 각각 설치한 서해 인공구조물에 관련한 의견도 주고받을 것으로 보인다.
서해 구조물은 한중 잠정조치수역(PMZ)에 설치돼있다. 이 수역은 양국이 지난 2000년 어업협정을 체결하면서 설정한 것으로, 서해 중간에 한국과 중국의 200해리 배타적 경제수역(EEZ)이 겹치는 수역의 일부로 알려졌다. 양국 어선의 조업이 가능하고 양국 정부가 수산자원을 공동 관리하지만, 항행과 어업을 제외한 다른 행위는 금지돼 있다.
중국은 해당 구조물이 양식장 관련 시설이라는 입장이지만, 해당 수역에 직경·높이 각 수십미터 규모의 이동식 철골 구조물을 잇따라 설치해 영유권 주장의 근거를 만들기 위한 의도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이에 정부는 서해에서 합법적인 해양권익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범정부차원에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지난달 21일 도쿄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서해상의 중국측 활동으로 우리의 정당하고 합법적 해양권익이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고, 왕이 외교부장은 해양권익에 대한 상호존중이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이 문제에 대해 소통을 지속해 나가자고 제안한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pjh@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