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기자수첩] 마른 하늘에 날벼락? 우주쓰레기 대책 시급

등록 2023.04.19 11:31:12수정 2023.04.19 19:47:3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기자수첩] 마른 하늘에 날벼락? 우주쓰레기 대책 시급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불과 석 달 전 약 1시간 동안 우주 쓰레기 추락 여파로 우리나라의 하늘이 완전히 닫히는 소동이 벌어졌다. 낮 12시10분부터 44분에 걸쳐 전국 공항의 항공기 이륙이 전면 중단됐다. 국민들에게는 외출을 삼가라는 정부의 안내문자까지 발송됐다. 수명이 다한 미국 인공위성의 한반도 추락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같은 위협이 앞으로 더 빈번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지난 5년 간 지구로 떨어지는 우주 쓰레기가 10배 가까이 늘었다. 2018년 250개에 불과하던 추락 인공우주물체 잔해물이 2022년 2461개로 증가했다. 4년 새 10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이처럼 민간이 주도하는 뉴스페이스 시대가 본격 도래하면서 우주 쓰레기도 빠르게 늘고 있다. 미국의 우주항공기업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위성 수천여개를 쏘아 올리는 만큼 수명이 다하거나 고장나는 위성이 많아질 수밖에 없는 만큼 우주쓰레기가 늘어나는 건 필연적이다.

우주 쓰레기가 급증하고, 이 우주 쓰레기와 부딪혀 파괴된 위성이 새로운 쓰레기를 만들고, 새로운 쓰레기가 또 다른 위성을 위협하는 악순환인 '케슬러 증후군'이 이미 현실이 됐다는 학계의 우려도 있다.

지금까지 우주 쓰레기 처리기술 개발 시도가 없었던 건 아니다. 미국과 유럽은 로봇팔·그물·작살을 이용해 우주 쓰레기 수거를 시도하고 있고, 일본은 자석을 이용해 우주쓰레기를 대기권으로 끌어들여 불태워버리는 실험에 성공하기도 했다. 중국은 우주 쓰레기를 청소 위성으로 포획해 묘지 궤도로 던져버리거나, 위성에 '우주 돛' 등을 탑재시켜 지구 궤도에서 없애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뉴스페이스 개막을 앞두고 있는 우리나라 또한 2027년 누리호 6호에 실리는 차세대소형위성 3호가 우주 쓰레기 포집위성 1호로써 수명이 다한 우리별 2호 위성을 지구로 데려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개별 국가의 움직임 뿐만이 아니다. 국제우주쓰레기조정위원회(IADC)라는 국제기구가 구성돼 우주쓰레기로 인한 지구 궤도상 환경문제를 두고 40여차례 회의가 진행되기도 했다.

이같은 시도들이 있긴 하지만 위성들이 하루에만 수백, 수천대씩 발사되는 속도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이다. 우주 선도국들도 국제 사회의 시선을 의식한 듯 우주 쓰레기 처리를 위한 최소한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데 그치고 자국의 위성 발사를 줄인다거나 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그나마 조직된 국제기구들도 주요 국가들이 참여했다는 데 의의가 있을 뿐 실질적인 제재를 가할 수 있는 힘은 없다. IADC 등이 수명이 다했거나 고장 난 위성들의 폐기 방안 등을 명시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는 있지만 역시 강제성 없는 권고 수준에 그친다.

뉴스페이스 시대, 민간 주도의 우주 개발이라는 눈부신 이상이 인류의 생존 자체를 위협할 수 있는 우주 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가리고 있는 형국이다. 천문학계에서는 현재 추세로 우주 쓰레기가 늘어나고 확실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지구 궤도 전체가 쓰레기로 뒤덮여 하늘이 완전히 닫히게 되는 일이 농담이 아닐 것이라고 진지하게 경고한다.

우주 패권 경쟁이라는 명분으로 눈을 가리고 있을 때가 아니다. 뉴스페이스 시대 인류 사회의 시급한 현안 과제로 대두된 우주 쓰레기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선 우주 쓰레기 제거 기술과 국제 규범이 반드시 강화돼야만 한다. 그리고 그 선두에는 우주 개발 선도국이라는 이름과 함께 우주 환경 오염에도 앞장서온 국가들이 자리해야 할 것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