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사회

[기자수첩]지카바이러스 공포에 보건당국이 걱정할게 '경제'?

등록 2016.02.12 05:00:00수정 2016.12.28 16:35:3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세종=뉴시스】

【세종=뉴시스】김지은 기자 = "지카바이러스 검사 결과가 음성일 경우 매일매일 알리는 것이 국민 우려 혹은 경제적 실익 등을 고려할 때 어떤 의미가 있는지 고민을 해봐야 할 것 같다."

 이달초 질병관리본부 위기소통담당관이 기자들에게 건넨 말이다. 감염자가 아닌데도 진단 결과를 언론이 실시간으로 경쟁적으로 보도하면 국민불안이 커지고 이로인해 경제까지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질병관리본부는 국가방역체계 개선대책의 하나로 지난달 1일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이 과정에서 메르스 사태 당시 논란이 된 '불통' 문제를 해소하겠다며 '위기소통과'를 신설했다. 감염병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국민과 소통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후속조치였다.

 그럼 여기서 메르스가 발생했던 몇달전으로 시계추를 돌려보자.

 지난해 메르스가 처음 발생했을때 보건당국은 병원이나 지역을 공개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공개하면 불필요한 오해와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 비공개 이유였다. 그러면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 떠도는 유언비어나 괴담에 대해서는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경고성 발언도 서슴지 않았다. 

 그렇지만 몇일이 지나지 않아 정부의 정보 독점과 밀실 대응이 화를 키운다는 지적이 나오자 그제서야 확진자가 거쳐간 병원명단을 공개하는 등 뒷북 논란을 빚었다.

 문제는 당국의 소통 태도가 전과 비교해 개선됐다고 평가할 수 있느냐는 점이다. 물론 지카바이러스가 아직 국내에서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한발 앞서 법정감염병으로 지정하는 등 발빠르게 대처한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국민과의 소통이란 측면에서 본다면 아직 멀었다는 느낌이 든다.

 소통은 '일방'의 전달이 아닌 '쌍방'이 의사를 나누는 과정이다. 국민이 꼭 알아야 할 정보가 무엇인지 당국이 지레 짐작해 제약을 둬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더욱이 국민건강과 맞닿는 감염병 정보제공을 언급하며 그것도 명색이 보건당국이 '경제적 실익'을 최우선적으로 걱정하는 태도를 보였다는 점은 도저히 이해하기 힘들다.

 '국민의 불안과 고통을 공감하라'. 미국 질병통제센터(CDC)의 커뮤니케이션(소통) 매뉴얼의 핵심이다.

 국민을 설득의 대상이 아닌 결정의 주체로 인정하고 정보와 지식을 가감없이 정확히 알릴 때 '불안'은 '동참'으로 바뀌는 것이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

구독
구독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