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내용 요약
자금조달 악화로 유동성 적신호
1년새 1%대→4%…10년 만 최고
10일 금융투자협회 등에 따르면 신용등급이 AA+로 가장 높은 국내 카드사(신한, KB, 삼성)의 3년물 여전채 금리가 지난 7일 4.012%를 기록했다. 해당 채권의 금리가 4%를 돌파한 것은 지난 2012년 4월 2일(4.02%) 이후 10년 2개월여 만이다. 8일 기준으로는 3.980%로 전일 대비 소폭 하락했다.
또 올해 여전채와 국고채 3년물 스프레드(금리차)는 지난해 3월 말 0.33%포인트에서 이달 초 0.77%포인트로 두 배 이상 커졌다. 국고채와 여전채의 스프레드가 커질수록 카드사들은 그 상승분을 고스란히 비용으로 부담해야 한다. 대출 사업에 필요한 자금의 70% 이상을 여전채를 통해 조달해야 하는 카드사로선 발등에 불이 떨어진 셈이다.
이에 카드사들은 단기자금 조달시장으로 몰리고 있다. 본격적인 금리인상기 진입에 조달비용을 절감하기 위함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2년 1분기 BC카드를 제외한 7개 전업카드사의 만기 1년 이내 기업어음(CP), 전자단기사채 발행액은 38조원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0년 동기 대비 62% 상승했다.
하지만 단기간에 상환이 겹칠 경우 유동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카드업계는 해외차입으로도 눈을 돌리고 있다. 다만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금융당국이 지난 2015년 7월 원화용도 외화차입 축소 규제 관련 행정지도를 폐지, 형식상으로는 여전사에 대한 외화차입 규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외화 총량 관리를 하는 기획재정부와 사전협의를 거쳐야 해 카드업계는 신규 외화차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장의 우려가 커지자 금융당국도 카드사의 유동성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거시 지표가 안 좋아지면서 자금조달 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이에 대한 대비를 강화할 것을 지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 빅데이터MSI는 투자 참고용이며, 투자 결과에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주식시장에서는 다양한 국내외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한 지표로만 판단하면 뜻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