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김정남 독살 용의자인 北 여공작원 검거될까

등록 2017.02.15 11:56:03수정 2017.02.15 12:06:1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이 지난 13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독살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현지 매체 더스타가 공항 CCTV에 포착된 김정남을 암살한 것으로 추정되는 한 여성의 모습을 보도했다.  김정남은 마카오행 여객기 탑승을 기다리던 중 피습됐다. 2017.02.15. (사진=더스타 영상 캡쳐)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이 지난 13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독살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현지 매체 더스타가 공항 CCTV에 포착된 김정남을 암살한 것으로 추정되는 한 여성의 모습을 보도했다.  김정남은 마카오행 여객기 탑승을 기다리던 중 피습됐다.  2017.02.15. (사진=더스타 영상 캡쳐)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김태규 기자 = 말레이시아 경찰 당국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이복 형인 김정남을 독살한 용의자 수사에 속도를 붙이는 모양새다. 하지만 폐쇄회로(CCVT) 기록 외엔 별다른 증거가 없어 어려움이 예상된다.

 14일 오후(현지시간) 말레이시아 현지 매체인 '베리타 하리안' 보도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경찰은 김정남을 피살한 것으로 추정되는 용의자 얼굴이 담긴 CCTV를 입수해 이에 근거한 초동수사를 벌이고 있다.  

 말레이시아 경찰이 현지 언론에 공개한 CCTV에 따르면 신원 미상의 동양 여성 1명은 12일 오전 9시26분께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급하게 차량을 기다리는 모습이었다.  

 현지 경찰은 김정남이 오전 10시 마카오로 출발하는 항공편 탑승을 위해 1시간 전인 오전 9시께 공항 제2청사에서 탑승수속을 밟던 중 살해당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용의자로 추정되는 여성 2명은 범행 후 택시를 타고 공항을 빠져나간 것으로 보고 있다. 시간대를 고려하면 CCTV에 포착된 여성이 용의자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대북 소식통은 북한 정찰총국 등에서 고도로 훈련받은 공작원이라면 검거 가능성이 적다고 보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경찰력이 주변 싱가포르 등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열악하고, 용의자가 이러한 헛점을 놓치지 않고 이미 제3국으로 출국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탈북민 출신의 한 소식통은 "기본적으로 북한은 공작원의 범행 이후의 안전까지 고려하지는 않는 편이지만 김정남이라는 거물급을 암살한 이번의 경우 비밀보장 차원에서 잡히지 않게 하기 위한 대책을 어느 정도 마련했다고 보면 된다"며 검거 가능성을 낮게 봤다.

 이 소식통은 "정찰총국은 중국의 영향권에 있는 마카오보다는 말레이시아가 공작원을 도주 시키기에 적당한 곳이라는 판단까지 했을 것"이라면서 "또 공작원들은 위조여권 등을 많이 사용한다는 점에서 수사당국이 이들을 잡기란 매우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전진우 기자 =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이복형 김정남이 지난 13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공항에서 여성 2명에게 독액으로 피살당했다.  618tue@newsis.com

【서울=뉴시스】전진우 기자 =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이복형 김정남이 지난 13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공항에서 여성 2명에게 독액으로 피살당했다.  [email protected]

 아직 초동수사 단계에서 용의자가 특정되지 않았다는 점, 특히 북한과 말레이시아는 무비자로 입국이 가능할 정도로 비교적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말레이시아 수사 당국이 인터폴 등을 통해 주변국에 수사 협조 요청을 할 가능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관측이다.  

 북한 공작원들이 동원된 암살의 경우 검거 사례가 적다는 점도 수사가 난항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를 더하고 있다. 1997년 김정일 처조카 이한영씨 피격 사건 때도 당시 안기부와 경찰은 용의자가 북한으로 돌아간 후에야 공작원 소행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1987년 KAL기 폭파 사건 당시에는 하치야 신이치(본명 김승일)와 하치야 마유미(본명 김현희)가 아부다비에서 일본으로 가는 과정에서 신원이 노출 돼 검거됐다. 당시 김승일은 독약 앰플을 먹고 자살했고, 김현희는 같은 방법으로 자살을 시도했다가 실패해 검거됐으며 결국 KAL기 폭파 사실을 시인했다.

 탈북민 출신 박사인 현인애 통일연구원 객원연구위원은 "김현희 사건 때 붙잡혔다가 KAL기 폭파 사실이 폭로되는 바람에 낭패한 사례를 북한도 똑똑히 기억하고 있다"며 "이후 비밀보장 차원에서 공작원들의 교육이 강화됐다. 잡힐 위험에 놓이면 자살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