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일자리 31만개↑······'질 좋은' 대기업·제조업 사라져
통계청, 2017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발표
작년 사라진 일자리 271만개…청년 일자리 악화
하지만 '질 좋은 일자리'로 인식되는 대기업과 제조업 일자리가 대폭 줄고 불안정한 자영업자가 늘어난 것이란 점에서 일자리 정책의 근본적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통계청은 17일 발표한 '일자리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일자리 수는 총 2316만개로 1년 전의 2285만개보다 31만개(1.4%) 증가했다.
지난해와 같은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일자리'가 1718만개(74.2%), 퇴직·이직으로 근로자가 바뀐 '대체 일자리'는 296만개(12.8%)였다.
기업체가 설립되거나 사업이 확장돼 새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302만개(13.1%)였다.
신규 일자리는 개인 기업체가 140만개(46.3%)로 회사 법인(130만개·42.9%)보다 더 많이 제공했다. 신규 일자리의 83.1%(251만개)는 중소기업에서 나왔다.
반면 전체 일자리중 회사법인 일자리는 48.2%로 가장 많았고, 개인기업체 일자리는 31.5%였다.
영리기업에서 일자리의 79.6%(1844만개)를 제공했으며, 이중 중소기업 일자리는 80.7%(1488만개)나 됐다. 중소기업과 비영리기업의 일자리는 각각 16만개, 15만개 늘었지만 대기업 일자리는 2000개 줄었다.
산업별 일자리 규모는 양질의 일자리로 인식되는 제조업이 470만개(20.3%)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1년 전보다 7만개 줄어 20개 업종중 일자리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제조업 다음으로는 도·소매업 300만개(12.9%), 건설업 209만개(9.0%),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192만개(8.3%) 등의 순이었다.
일자리 규모가 100만개 이상으로 큰 산업의 일자리 형태별 분포를 보면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의 지속 일자리 비중이 87.5%로 가장 높았다. 숙박·음식점업은 신규 일자리의 비중이 20.9%로 타 산업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근로자 성별 일자리 규모는 20대까지는 비슷하나, 30대 이후는 남성이 점유한 일자리가 60.4%로 여성보다 많았다.
남성이 점유한 일자리는 1364만개(58.9%)로 여성(952만개·41.1%)의 1.43배 수준이다. 1년 전보다는 남성이 20만개(1.5%) 증가해 여성(11만개·1.1%)의 일자리 증가율보다 0.4%포인트 높았다.
상대적으로 열악한 50세 이상 인구의 일자리가 급증한 반면 청년세대 일자리 사정은 악화됐다.
전체 일자리의 72.0%(1668만 개)를 30~50대가 점유하고 있었다. 40대가 26.4%로 가장 많았고 50대(22.9%), 30대(22.7%), 20대(14.2%), 60세 이상(12.9%), 19세 이하(0.9%) 순이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60세 이상이 점유한 일자리가 25만개(9.1%) 증가했다. 50대는 17만개(3.3%),20대는 1만개(0.2%) 각각 증가했다.
반면 30대는 8만개(-1.4%), 40대는 2만개(-0.4%), 19세 이하는 1만개(-5.8%) 각각 감소했다.
전체 일자리 중 근속기간 3년 미만이 63.9%이었고, 10년 이상은 13.8%를 차지했다.
기업규모별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비영리기업 7.8년, 대기업 7.4년, 중소기업 3.0년으로 나타났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일자리 증감 패턴이 인구 증감과 일치한다"면서도 "조선업 구조조정 여파로 제조업 일자리가 큰 폭으로 줄었는데, 제조업 영위 기업의 대부분이 대기업"이라고 설명했다.
전체 일자리의 82.3%(1907만개)가 임금근로 일자리로 1년 전보다 27만개 늘었다. 비임금근로 일자리는 4만개 증가한 410만개(17.7%)였다.
지난해 기업체가 부도·파산·폐업·합병 등으로 없어졌거나 사업이 축소돼 사라진 '소멸 일자리'는 271만개였다. 소멸 일자리의 절반이 넘는 138만개(50.7%)가 개인 기업체였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