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올 연말이 고비"…미계약·미분양 급증에 건설사 '위기' 확산

등록 2022.12.16 06:15: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전국 미분양 물량 5만 가구 육박·서울 아파트 미계약 4배 껑충

금리 인상·원자잿값 급등·미분양 급증·PF 자금경색 '산 넘어 산'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사진은 서울의 한 아파트 공사 현장. 2022.05.17. kch0523@newsis.com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사진은 서울의 한 아파트 공사 현장. 2022.05.1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수분양자들의 계약 취소로 미분양 물량이 쌓이고 있어요."

지난 15일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위축된 건설경기와 관련한 뉴시스 취재진의 질문에 "금리 인상과 부동산 경기 위축 여파로 전국 사업장마다 미계약·미분양이 눈에 띌 정도로 급증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분양 일정을 조정하고, 현금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뜻대로 되지 않고 있다"며 "올 연말 어음이 도래하면 유동성 위기로 회사 문을 닫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토로했다.

건설업계가 줄도산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된 가운데 미분양 급증에 레고랜드발(發)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경색까지 겹치면서 줄도산 위기가 확산하고 있다.

특히 전국 미분양 물량이 5만 가구에 달하고, 올해 수도권 아파트 청약에 당첨되고도 계약하지 않은 물량이 작년보다 3배 가까이 늘어나는 등 분양 시장이 악화일로다.

건설업계는 명품에 수입차 등의 경품을 내걸고 미분양 해소와 유동성 확보를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일부 건설사들은 위약금을 물고 분양을 취소하기도 했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9월 충남지역 종합건설업체 6위인 우석건설이 부도가 난 데 이어 경남 창원의 중견 종합건설업체 동원건설산업이 지난 25일과 28일 두 차례 도래한 총 22억원의 어음을 결제하지 못해 최종 부도 처리됐다. 동원건설산업은 창원 성산구 소재로 전국 도급순위 388위 경남지역 도급순위 18위다. 지난해 매출액은 500여억원 수준이다.

건설업계는 미분양 급증이 자칫 줄도산으로 이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0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4만7217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4만1604가구) 대비 13.5%(5613가구) 증가한 수치로, 2019년 12월(4만7797가구) 이후 최대치다. 수도권은 7612가구로 전월보다 2.6%(201가구) 감소했지만, 지방이 3만9605가구로 전월보다 17.2%(5814가구) 증가했다.

서울의 미분양 주택은 866가구로 전월 대비 20.4%(147가구) 늘었다. 지난해 말(54가구)과 비교하면 16배 넘게 급증했다. 시·도별로 보면 대구(1만830가구)에서 미분양 물량이 가장 많았고, 이어 경북(6369가구), 경기(5080가구), 경남(4176가구) 순으로 집계됐다. 전북 지역 미분양 주택은 1383가구로 한 달 새 122.7%(762가구)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또 악성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도 전국적으로 7077가구로, 전월보다 1.6%(122가구) 줄었으나, 서울은 210가구로 12.3%(23가구) 증가했다.

분양시장이 꽁꽁 얼어붙은 가운데 건설사들이 연말 밀어내기 분양에 나서면서 침체가 가속화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부동산 정보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10대 건설사는 이달 지방에서 16개 단지, 총 1만1411가구(일반분양 기준)의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지역별로 강원도가 2967가구로 가장 많고 충북(1319가구), 대구(1581가구), 경남(1965가구), 충남(999가구)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청약 당첨자 미계약 물량도 급증했다. 올해 1~11월 서울에서 무순위 청약으로 나온 아파트 미계약 물량은 371가구에서 1573가구로 4배 이상 뛰었다. 무순위 청약 경쟁률은 734.0대 1에서 143.7대 1로 5분의 1수준까지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건설사들의 줄도산 위기를 막으려면 정부의 적극적인 유동성 공급과 과감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연말에 금리가 추가 인상되면 부동산시장이 더욱 얼어붙게 되고, 가뜩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건설사들의 자금 조달이 더욱 힘들어질 것"이라며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율이 오르면 금융권에서 PF 대출을 더 조이고, 건설사들의 유동성 위기가 커지고 일부 사업장의 부도 위험성이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금리 인상과 원자잿값 급등, 분양시장 냉각 등 주택 정비사업 여건이 악화되고, 부동산 PF대출 부실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건설사들의 줄도산 위기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유동성 공급과 과감한 규제 완화를 통한 부동산 연착륙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