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생기원, 3D프린팅으로 '한국형 구축함' 부품재생 성공

등록 2023.04.10 10:34:5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마모된 광개토대왕함 디젤엔진 부품 '금속와이어 3D프린팅 기술'로 재생

생기원 독자개발 기술, 레이저 빔으로 신속·정밀하게 형상 복원

[대전=뉴시스] 생기원 이협 박사팀이 자체 개발한 '레이저 기반 금속와이어 3D프린터'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 생기원 이협 박사팀이 자체 개발한 '레이저 기반 금속와이어 3D프린터'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 김양수 기자 =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금속와이어 3D프린팅 기술로 한국형 구축함 광개토대왕함의 손상된 디젤엔진 부품을 재생하는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3200t급의 광개토대왕함은 지난 1998년 실전 배치된 제1호 한국형 구축함으로 2021년 최신 전투체계로 성능을 개량했다.

손상된 부품은 엔진의 감속기 역할을 하는 디젤엔진 클러치 잠금장치로 엔진회전에 의해 주변 부품과 접촉·마찰하면서 표면이 마모돼 교체가 필요했다.

구축함 부품은 주문생산 방식으로 조달이 이뤄져 부품 발주 및 납품까지 3개월 이상이 소요돼 당시 긴급 수리를 시도했지만 손상 부위의 폭이 좁고 얇아 기존 용접기술로는 부품의 형상 변형없이 수리가 어려웠다.

이에 생기원 시흥 3D프린팅제조혁신센터 이협 박사팀은 해군군수사령부정비창으로부터 해당 부품의 수리 요청을 받고 금속 와이어 3D프린팅 기술을 적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이번에 적용된 기술은 금속와이어 공급기 및 레이저를 탑재한 로봇 팔이 와이어를 레이저 빔으로 녹여 붙여 3차원 형상을 만드는 기술로, 이 박사구팀이 국내 최초로 개발한 기술이다.  

기존 용접수리 방식은 부품에 열이 과도하게 축적돼 형상이 뒤틀리는 위험을 있지만 이 박사가 개발한 금속와이어 3D프린팅 기술은 레이저 빔을 정밀하게 제어하며 형상을 복원하기 때문에 부품의 열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금속와이어 3D프린팅 기술로 신속하게 수리된 부품은 해군정비창으로 옮겨져 후처리 공정-디젤엔진 결합-시운전 평가를 거쳐 성공적으로 정비가 완료됐다.    

이협 박사는 "군 무기체계 노후화로 국방부품의 재생정비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라면서 "3D프린팅 기술은 다양한 품목의 신속 제조에 강점을 갖고 있어 국방부품의 재생 정비 긴급 수요를 충족시키는 핵심기술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해군정비창장 최헌식 군무이사관은 "해군 전투력의 최일선에 있는 함정의 완벽한 전투태세 유지를 위해선 신속·정확한 첨단 정비기술 확보가 필수적이다"며 "생기원과의 협력체계를 강화해 3D프린팅 정비기술을 고도화, 과학기술 기반의    군 조직으로 혁신을 이룰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