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고위당정, '공교육 멈춤의 날' 하루 전 대응책 긴급 논의

등록 2023.09.03 14:44:04수정 2023.09.03 15:26:0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교권을 바로 잡아주세요'.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지난 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 앞에서 열린 50만 교원 총궐기 추모 집회에서 교사들이 손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3.09.02. ks@newsis.com

'교권을 바로 잡아주세요'.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지난 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 앞에서 열린 50만 교원 총궐기 추모 집회에서 교사들이 손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3.09.0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정성원 최영서 기자 = 국민의힘과 정부는 '9·4 공교육 멈춤의 날'을 하루 앞둔 3일 관련 대책을 논의한다.

여권에 따르면 당정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국무총리공관에서 비공개 고위 당정 협의회를 열고 교사 파업 대응책과 교권 회복 방안 등을 논의한다.

당에서는 김기현 대표와 박대출 정책위의장, 정부에서는 한덕수 국무총리,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교사 모임 '한마음으로 함께하는 모두'는 서이초 교사 49재인 오는 4일을 '공교육 잠시 멈춤의 날'로 지정하고 단체 행동에 나선다. 당일 오전 서이초교 앞에서 추모 활동을 한 뒤 오후 4시30분부터 국회 앞에서 추모집회를 열겠다고 밝혔다.

교육당국은 학교 임시(재량)휴업 전환이나 교사 개인의 연가·병가 사용에 대해 불법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그러나 당국은 당일 출근하지 않을 교사들의 규모가 어느 정도일지 가늠하지 못하고 있다.

박대출 정책위의장은 전날 페이스북에 경기 고양·전북 군산 초등학교 교사가 잇따라 극단적 선택을 한 사건을 언급하며 "안타까운 비극이 있기 전에 진작 교권 보호를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들이 있었어야 했는데 아쉬움이 크다"고 밝혔다.

박 의장은 공교육 멈춤의 날을 우려하며 "선생님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교권 회복의 원년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민국 수석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어느 순간부터 특정 단체로 인해 교육 현장과 교실이 정치 투쟁으로 변하고, 심지어 스스로 노동자를 자처하는 단체 때문에 교육 현장이 많이 망가졌다"며 "학생 인권만 강조했던 특정 단체, 정치 투쟁을 교실로 옮겨온 단체, 신성한 선생님을 스스로 노동자로 격하시킨 단체에 책임이 있다"고 비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